몸의 역사 몸의 문화 - 동과 서, 전통과 현대의 눈으로 본
강신익 지음 / 휴머니스트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2007. 12. 9. 다 읽음.

 
이 책은 의학의 역사에 나타난 '차이'들의 갈등과 조화에 관한 것이다.(7쪽)

즉,

좁게는 서양에서 들어온 생물의학과 동아시아 전통의학의 차이와 사이를 다루지만, 넓게는 '몸'이라는 두 의학 공통의 관심사를 역사와 문화의 맥락에 위치시켜 파악하는 한편, 지금 여기의 관점에서 그 차이를 극복하고 종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7쪽)

 

선이해 :

의학이 세계를 이해하려는 방식으로 사람의 몸을 설명하는 지식의 체계라면, 의술은 질병이나 상해와 같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의 양식이다. ... 사회가 의료 행위에 부여하는, 또는 의료 행위를 하는 의료인이 스스로 체득하여 실천하는 인간적 가치를 우리는 의덕이라고 한다.(29쪽)

질병(disease) 또는 병환(illness)

근대 서양의학에서 질병은 몸의 실체적 변화를, 병환은 그런 변화에 대한 몸의 경험을 일컫는다.(74쪽)

 

지은이의 상황 판단 :

동아시아의학이 주체적 배움의 과정을 중시하면서 객관적 앎의 생산에 게을리 한 반면, 서양의학은 시기별로 무척 다른 양상을 보이기는 하지만 객관적 앎의 생산에 주력하면서 주체적 배움과 삶의 맥락을 경시해온 것을 알 수 있다.(46쪽)

우리의 한의학은 전일적 세계관과 환원적 방법론 사이에서 지적 혼돈에 빠져 있고, 서양의학은 환원적 세계관을 버리지 않은 채 전일론을 하나의 방법으로만 이용하고자 한다.(107쪽)

여기에서 문제가 시작된다. 자기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눈의 티끌만 보는 것!

 

생물의학과 한의학의 차이 :

서양의학이 혈액이나 담즙 그리고 르네상스 이후에는 인체의 형태와 구조를 중시하는 실체적 물질 중심의 구체적 추론 체계였다면, 한의학은 기본, 뿌리, 주인과 같은 은유적 표현으로 인체의 기능을 재구성한 추상적 추론 체계라고 할 수 있다.(112쪽)

구미 4개국의 의료문화를 비교 연구한 의학 전문기자 린 페이어는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의 의료문화를 각각 생각하는 의학, 경제적인 의학, 조화로운 의학, 공격적인 의학으로 정리하고 있다.(54쪽) 재미있고도 예리한 분류이지 않는가?

 

지은이의 제안 :

동아시아의학은 서양의학으로부터 표준화된 과학적 방법론을 배워야 할 것이며, 서양의학은 동아시아의학으로부터 사물을 바라보는 전일적 시각을 배워야 할 것이다.(46쪽)

한국인의 몸과 두 의학의 만남은 한국인의 몸이라는 자연적 대상을 둘러싼 두 의학의 갈등으로 읽을 것이 아니라, 한국인의 몸이라는 문화적 주체와 서로 다른 문화적 관점의 표현인 의학적 시선들의 만남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170쪽)

 

내가 생각하는 문제의 근원 :

과학은 몸과 마음을 나누었지만 우리는 아직도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닌 언어로 생각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6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