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정신병을 지닌, 쇼코.

사랑스러운 쇼쿄를 아내로 둔 호모 의사 남편, 무츠키.

 

처음 무츠키 부부를 만났을 때, ‘어라, 이 이상한 조합은 뭐야?’ 생각했다.

이 두 사람은 진정 서로를 사랑하고 있을까, 작가는 어째서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이야기를 하기 위해 이 기괴한 조합을 꺼내야 했을까, 일단은 머리 속에 떠오르는 온갖 의문을 제쳐두고 그들을 들여다 보기 시작했다.

 

밤이면 하늘을 바라보는 무츠키.

밤하늘을 바라보는 무츠키의 옆얼굴을 좋아하는 쇼코.

 

곤, 무츠키의 애인, 의 이야기를 해달라고 조르는 쇼코.

매번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곤의 이야기를 해주는 무츠키.

 

쇼코의 부모님께 곤과 헤어질 각오를 이야기하려는 무츠키.

곤과 무츠키가 헤어지면 자신 또한 무츠키와 헤어질거라는 쇼코.

 

언뜻 보면,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이야기다. 하지만, 글 속에 나온 ‘은사자’는 쇼코의 마음을 대변하기에 충분했고, 그 ‘은사자’는 나로 하여금 그들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우리는 우리가 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동경을 하고, 그것들로 하여금 대리만족을 느낀다.

가령, 지독히 모순적인 사회에 대항하여 삐딱한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입 밖으로도 내뱉지 못하는 소극적 내 모습에 반해 적극적으로 사회에 대항하는 말들을 서슴없이 내던지는 사람을 보면 곧 그 사람을 나와 다른 세계에 사는 사람이지만, 멋진 사람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아마, 쇼코에게 있어서 무츠키와 곤, 그리고 그 친구들은 그런 동경의 대상이였을 것이다. 또 동시에 그들은 쇼코에게 있어 지켜주어야 하는 것들이었다.

 

세상에 반하는 멋진 사람은 유독 외롭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쇼코도 알고 있었을테고, 그들을 지켜주고 싶었을 거다. 그러던 와중에 그녀는 무츠키 못지 않게 그들을 사랑하게 되었을거다.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사실만으로도 쇼코를 이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쇼코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한 구절이 있다.

 

“물을 안는 것과 진배없지 않느냐”

호모인 자신의 아들 무츠키와 며느리 쇼코의 결혼이 안타까운 시아버지가 쇼코에게 했던 말.

 

”하지만 나한테는 며늘아기도 은사자처럼 보이는구나.”

은사자에 대한 이야기를 털어놓은 무츠키를 그의 아버지(즉, 쇼코의 시아버지)가 향한 말.

 

물을 안는다는 것, 손에 잡히는 것도 없고 옷만 젖고 마는 그런 소득 없는 행동. 하지만, 그렇게라도 물을 안고 살겠다는 것은 결국 자신도 물과 같고 싶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아버지의 눈에는 쇼코는 은사자와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을 보는 안타까운 시선, 이해하지 못하는 시선이 있음에도 쇼코가 무츠키를 사랑함에는 틀림없다. 또 그렇다고 무츠키의 곤에 대한 사랑은 진실이지만 쇼코에 대한 사랑은 거짓이라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때로는 무츠키의 무한한 자상함이 쇼코를 더욱 외롭게 했지만, 무한한 자상함과 곤에 대한 사랑을 진실하게 드러낸다는 것은 쇼코를 아끼기에 가능한 것이다.

 

책을 읽는 내내 그려질 듯 그려지지 않는 어눌한 내 그림솜씨 마냥, 그들만의 사랑이 답답하기만 했다. 그들 사이의 대화도, 곤과의 대화도, 그들의 부모들과의 대화도, 그 둘을 둘러싼 모든 상황들이. 하지만, 그들과의 만남을 끝내고 나서 쇼코를 바라보는 따스한 무츠키의 눈과 무츠키와 곤을 바라보는 애정 가득한 쇼코의 눈이 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던 무츠키가 그를 사랑하는 쇼코와 곤과 더불어

평생 변치 않는 행복 속에 살길 바란다면, 그건 내 욕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