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어로의 공식 - 첫눈에 독자를 홀리는 역대급 주인공 만들기 어차피 작품은 캐릭터다 2
사샤 블랙 지음, 정지현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어로의 공식'은 작가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딜레마 사전', '트라우마 사전', '디테일 사전' 등 사전 시리즈를 출간한 윌북의 책이다. 또 이 시리즈의 저자 안젤라 애커먼이 강력 추천한 책이라서 더욱 구미가 당긴다. '히어로의 공식'은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주인공을 만드는 캐릭터 작법서로 '사랑받는 주인공'을 만드는 10단계 작법을 소개한다. 


종종 연기파 배우들의 인터뷰를 듣다 보면 자신이 맡은 캐릭터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작품에 들어가기 전부터 캐릭터에 빙의(?)해 사고 및 행동하거나 일기를 쓰는 등 몰입을 하는데 이런 과정은 작가들에게도 해당한다. 캐릭터만 잘 만들어도 스토리가 슬슬 풀리는 기적같은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작품과 차별성을 주거나 독자들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늘 그렇듯이 실제로 작품을 만들다 보면 뻔한 주인공과 클리셰로 범벅된 스토리가 나온다.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봤을 때 취재가 충분하지 않았거나 내가 만든 캐릭터에 아직 몰입이 안된 경우 이런 얕고 납작한 작품이 나오는 것 같다.  '히어로의 공식'은 우리가 아는 작법서들에서 거론된  이야기들도 반복해서 나오지만 좀 더 쉽고 편하게 읽히며 매력적인 주인공을 만드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집중이 잘 된다. 

우리가 작품에서 보는 것은 작가가 준비한 것의 1/10도 안될 것이다. 잘 만들어진 캐릭터도 마찬가지로 작가가 100을 준비한다면 작품에서 보여줄 수 있는 부분은 10도 안될 것이다. '히어로의 공식'에서 서술하고 있는 내용만 봐도 매력적인 주인공을 만들기 위한 준비 과정이 얼마나 많고 다양한지 알 수 있다. 


주인공 캐릭터의 토대인 백스토리와 내면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캐릭터 아크와 스토리 아크를 설정하고, 주인공이 보고 듣고 느끼는 묘사에 디테일을 더해 참신한 대사를 쓰는 것까지. 이렇게 모든 방법이 책에 나와 있어도 이 방법들을 내 것으로 만들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릴 것 같다. 하지만 확실한 건 책의 내용을 토대도 충실히 노력하고, 연습한다면 독자를 홀리는 역대급 주인공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것이다.  


저자는 작품을 만들 때 '설명하지 말고 보여주라'고 말한다. 나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지만 생각처럼 잘 구현되지 않는 이론 중 하나인데 주인공은 절대로 자신의 감정과 깨달음, 작품의 주제를 직접 말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대화, 표정과 몸짓, 행동으로 이 모든 것을 전달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방법을 알기 위해 우리는 '히어로의 공식'이나 많은 작법서를 읽는 것 같다.

총 10가지 단계로 구성된 '히어로의 공식'은 각 단계의 마지막에 저자가 하는 질문에 대답해 볼 수 있는 빈 칸이 마련되어 있다. 저자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내가 좋아하는 작품이나 캐릭터를 분석하다 보면 분명 원하는 답에 도달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과정은 좋은 작품과 캐릭터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내가 어떤 이야기나 캐릭터를 좋아하는지, 앞으로의 작품의 방향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책의 말미에 캐릭터의 성격이나 가치관의 특징, 영혼의 상처 목록 등을 나열해놔서 캐릭터를 만들 때 꽤 도움이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 있는 내용은 '최고의 갈등 증폭 레시피'인데 스토리를 쓸 때 가장 힘든 부분이기도 하고 내 단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해서 집중해서 읽었던 것 같다. 작가라면 책을 구비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며 캐릭터를 구현하면 아주 좋을 것 같다.


같은 저자의 작품으로 '히어로의 공식' 외에도 '빌런의 공식', '사이드 캐릭터의 공식'도 있는데 함께 보면 더 유익하겠지?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