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이 되는 부모가 되지 마라
수잔 포워드 지음, 김형섭 외 옮김 / 푸른육아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부터 범상치 않았던 책
책 제목을 보고 내용이 너무 궁금했다.
어떤 부모가 독이 될까,혹시나 내가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독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며
스스로에게 질문해보며 읽어내렸던 책은 너무나 충격적이였다.
사실 전세계에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벌어지는 아이에 대한 학대, 신체적과 정신적 그리고 성적학대까지
작가가 만나왔던 사람들을 토대로 이야기가 나오는데,
실로 경악스러울수가 없다는게 참, 나도 모르게 읽으면서도 안타까움이 느겨졌다.
대물림되는 그들의 만행이 너무 안타까웠고
자신들도 모르게 물들어 있는 부모의 습성들을 마주하기 두려워하는 모습들이 안타까웠다.

요즘들어 아이를 키우며 자주 느꼈던
아, 난 정말 부모님께 감사해야겠구나.
이렇게 사랑을 받고 자랐구나.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대가 아니였고,
우리집이 물직적으로 풍요롭지 못했는데도,
난 아낌없이 사랑을 받았다는게,
자라면서는 못느꼈는데, 심지어 "엄마는 나에게 왜 관심이 없는거야?" 투정까지 부렸던 나인데
육아를 하면서 이 직업이 이렇게나 힘들고 
부모라는 위치가 얼마나 버겁고 힘이 드는지,
그 힘듦을 아이에게 보이지 않고 사랑을 아낌없이 주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비로서 엄마가 되고 부모가 되어서야 알게되었다는 것.
그러면서 이 책을 읽는 내내 어린 아이들이 겪어야했는 아픈 시절들에
그들의 부모에게 너무 화가 나서 미칠 지경이였다.
어찌 사람으로써, 부모로써 그럴 수 있을까.

하지만, 생각보다 현실에서 쉽게 볼수 있다는게 더 슬픈 현실이다.
내 주위또한 이런 부모를 심심치 않게 볼수있었으니 말이다. 



 


가장 흔하게 범하는 실수가 부모가 자식을 좌지우지 하려는 것인것 같다.
우리나라는 특히 경제적으로 대학교까지 아니, 실상 결혼하고 나서도 부모에게 의지하고 살아가게 되니
어찌보면 이같은 현실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얽메이고
부모에게 의지하고 부모의 뜻이 우선이고
가족 즉 부인이나 남편 그리고 아이의 뜻은 무시해버리거나 중요치 않는 것 같다 .
문화적인 것도 있겠지만,
나도 모르게 그런 행동을 끊임없이 아이에게 보이다 보니
아이들고 부모를 보며 반복될 수 밖에 없는 것
 
독이 되는 부모가 되지마라는
이미 그렇게 어린시절을 겪으며 상처를 심하게 입어서 치료를 받기 위해
수잔 포워드를 찾아온 이야기로 시작되기 때문에 해결책을 제시하기 보다는
현재의 자신의 상태를 보고 내가 누구인지 나의 주체가 부모가 아니라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깨닫게 하고 또 그렇게 나눠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렇게 수없이 많은 케이스를 가지고 이야기를 반복하며
그 되물림 속이 얼마나 잔인하게 인생을 망치게 되는지도
나자신에게도 반문해보았다.
나의 사랑이 너무 가득차서 아이에게 너무 내 방식을 강요하지 않았나.
명령조로 이야기 하지 않았다.
생각해보면 또 조금씩은 다 있었던 것 같아
부끄럽기도 했다.
나또한 저들과 다를봐가 없을지도 모른다고 자책도 해보면서
다시금 아이들은 자녀들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 각자의 주체성을 가진 인간으로 대해야한다고
그리고 잠시 나에게 맡겨진 소중이 다루고 보호해줘야 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실수하더라고 끊임없이 지치지 않고 알려줘야한다는 것을
참으로 많은 생각을 안겨준 육아서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