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난의 역설 - 비난의 순기능에 관한 대담한 통찰
스티븐 파인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어두운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남보다 더 나아 보이고 싶은 마음이 그것이다. 마음이 가지는 모습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지만, 부끄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난의 역설 - 비난의 순기능에 관한 대담한 통찰
스티븐 파인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어두운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남보다 더 나아 보이고 싶은 마음이 그것이다. 마음이 가지는 모습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지만, 부끄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난의 역설 - 비난의 순기능에 관한 대담한 통찰
스티븐 파인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어두운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남보다 더 나아 보이고 싶은 마음이 그것이다. 마음이 가지는 모습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지만, 부끄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것이 악의적으로 사용된다면?
악의적인 예로 우리에게 가까운 비난은 뭘까.
바로 이지메(집단 따돌림), 성희롱, 악플 등이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비난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비난의 역설, 비난의 양면성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자.

비난은 시점, 시대, 시간,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당한 일을 하고 오히려 발뻄하며 의로운 자들을 깎아내리거나 모함하는 자들은
비난을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부당한 비난이라고 한다.

부당한 비난만 있다면 이 책이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컨대, 의로운 비난도 있다. 협박, 모함, 경제적 고난을 무릅쓰고 싸우는 내부 고발자들이나
혹은 끝까지 부당함에 맞서고 부당함을 비난하는 선의의 비난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난은 여러 곳에서 우리들이 가까이에 숨 쉬고 있다.
그것이 악의이든 선의이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난의 역설 - 비난의 순기능에 관한 대담한 통찰
스티븐 파인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어두운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남보다 더 나아 보이고 싶은 마음이 그것이다. 마음이 가지는 모습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지만, 부끄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것이 악의적으로 사용된다면?
악의적인 예로 우리에게 가까운 비난은 뭘까.
바로 이지메(집단 따돌림), 성희롱, 악플 등이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비난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비난의 역설, 비난의 양면성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자.

비난은 시점, 시대, 시간,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당한 일을 하고 오히려 발뻄하며 의로운 자들을 깎아내리거나 모함하는 자들은
비난을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부당한 비난이라고 한다.

부당한 비난만 있다면 이 책이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컨대, 의로운 비난도 있다. 협박, 모함, 경제적 고난을 무릅쓰고 싸우는 내부 고발자들이나
혹은 끝까지 부당함에 맞서고 부당함을 비난하는 선의의 비난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난은 여러 곳에서 우리들이 가까이에 숨 쉬고 있다.
그것이 악의이든 선의이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난의 역설 - 비난의 순기능에 관한 대담한 통찰
스티븐 파인먼 지음, 김승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는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어두운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남보다 더 나아 보이고 싶은 마음이 그것이다. 마음이 가지는 모습 뒤에 숨어있는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연하지만, 부끄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것이 악의적으로 사용된다면?
악의적인 예로 우리에게 가까운 비난은 뭘까.
바로 이지메(집단 따돌림), 성희롱, 악플 등이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비난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비난의 역설, 비난의 양면성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자.

비난은 시점, 시대, 시간,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당한 일을 하고 오히려 발뻄하며 의로운 자들을 깎아내리거나 모함하는 자들은
비난을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부당한 비난이라고 한다.

부당한 비난만 있다면 이 책이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컨대, 의로운 비난도 있다. 협박, 모함, 경제적 고난을 무릅쓰고 싸우는 내부 고발자들이나
혹은 끝까지 부당함에 맞서고 부당함을 비난하는 선의의 비난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난은 여러 곳에서 우리들이 가까이에 숨 쉬고 있다.
그것이 악의이든 선의이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