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 vs. 언쟁 - 아고라 전장에서 살아남는 법
조제희 지음 / 들녘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에는 참 논란거리들이 많다. 그 논란거리들을 명확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듣고 확실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그 논란거리를 이용하여 타인의 마음을 상하게 하거나 불필요한 말들을 끄집어냄으로 인해서 논란의 범주를 벗어나기도 한다. 그럼 어떤 것이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인가? 필요한 것은 바로 탁월한 지식과 생각을 가진 이들이 논란을 논쟁으로 만드는 것이며 언쟁으로 만드는 것을 피해야하는 것이다.

 

이런 논쟁과 언쟁. 어찌 보면 비슷한 말 같기도 하고 다른 말 같기도 한데 무엇이 다른가? 나는 이 두 단어가 똑같다고만 생각해 왔다. 그러나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이 두 단어의 차이는 실로 엄청나게 다른 것이었다. 논란거리를 가지고 두 명이 의견을 말하는 것은 똑같으나 논쟁은 그 의견을 듣는 제 3자의 존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달랐다. 누군가를 설득하고 그 사람의 공감을 이끌어내어서 자신의 의견에 지지를 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중점으로 보았다.

 

논쟁에는 나의 생각보다 많은 구성요건과 갖춤이 필요했다. 타인을 설득하기위해서는 논리성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그 논리성을 뒷받침할 근거가 명료하면서도 다양하게 펼쳐져야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논쟁에 필요한 요건들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아주 자세히 표현해 놓았다. 그 세부적인 사항들이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마치 자갈치 시장에서 비슷한 생선을 펼쳐놓고 생선의 차이를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어려운 부분은 너무 어려웠고 이해하기 힘든부분도 간혹 보였을 정도로 논쟁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타인을 설득하고 나의 의견에 동조하도록 만드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이며 힘든 일인지를 논쟁이라는 측면에서 잘 말해주고 있으며 비록 논쟁이 아니더라도 사람을 대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논쟁이 가진 기술이 정말 필요한 부분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말, 글과 같이 사람에 따라 해석이 분분한 부분에서는 누구나 공감되고 이해할 만한 능력을 갖추는 일이 정말 필요하다. 이런 부분들을 이 책을 읽고 난 뒤에 느낄 수 있었다.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구분해내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런 부분을 구분해내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알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논쟁vs언쟁에서는 이런 부분까지도 잘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서 개인의 언어기술력을 향샹시킬 수 있도록 해두었다. 뭐든지 한번에 이루어질 수는 없을 것이다. 자신만의 설득력을 표출해내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시행착오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 책을 활용한다면 서서히 자신의 언어활용능력이 향상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