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으로 말해줘
버네사 디펜보 지음, 이진 옮김 / 노블마인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한 아이가 있다. 그녀는 자신이 어디서온지 모르고 오랜시간동안 이곳저곳을 전전하면서 살아왔다. 그러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서 스스로를 철문으로 막아두고 누구도 자신과 접촉하기를 꺼려하는 상태까지 이르렀다. 그런데 그녀가 이제는 조금씩 그 철문을 열어보려 한다. 빅토리아. 그녀의 이름은 빅토리아이다. 18세가 되어 보육원을 나가 스스로 독립이라는 발걸음을 내딛은 그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곤 9살때 접한 꽃과 꽃말들 이었다.
두가지 시선으로 보여지는 빅토리아라는 소녀의 삶속에는 가슴깊이 자리잡고 있는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잘 표현되어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빅토리아와 유일하게 철없던 시절 자신이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 자리잡고자 했던 엘리자베스와의 경험들은 유기적으로 잘 연관이 되어있고 서로가 원인과 결과처럼 시간의 매듭이 끊어지지 않는 채 가슴속에 남겨져 삶의 어딘가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의 빅토리아(18세)는 과거에 있었던 일로 꽃과 꽃말에 대한 것을 잘 알고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플로리스트 보조로 일하게 된다. 자신이 하고자 했던 일이라기 보다는 앞으로 살 길에 대한 수단으로 그 일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 보조일을 하고 있다가 어떤 사내를 보게 되고 그 사내가 자신만이 가지고 있다라고 생각한 꽃말의 대화를 알게 되면서 호기심이 생기게 된다. 꽃말로 본 그 사내는 비로소 과거에 봤던 사람이란 걸 알게되고 그와의 관계는 과거 자신이 벌였던 일에 대한 생각과 그로인해 자신의 마음에 남겨졌던 죄스러움을 다시금 해결해야한다는 압박으로 남겨진다. 과거의 빅토리아(9세)는 그동안 여러군데의 수양부모를 거쳐왔으나 문제를 일으키고 버림을 받아왔고 그로 인해 마음의 거부감을 가진 채 엘리자베스라는 수양부모에게도 여전히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상태로 드러난다. 하지만 다른 수양부모와는 다르게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정을 주려는 그녀에게 빅토리아도 조금씩 마음을 열고 그녀와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맺고자 하지만 엘리자베스 주변사람과의 문제로 인해서 빅토리아는 거부당하게 되고 그에대한 반발이 현재에 이르러 씻고 싶은 시간이라는 부분으로 여전히 가슴속에 남아있다.
관계와 관계가 잘 어울어지면서도 자극적이거나 돌발적이지 않고 흐름과 섬세함이 가미되어 빅토리아라는 아이의 고민과 고통을 이해시키고자 했고 그 거부할 수 없었던 시간들을 조금씩 해결해나가려는 모습이 가련하면서도 앞으로의 길을 진정으로 응원해주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였다. 유일하게 가족이라는 느낌이 든 시기에 배웠던 꽃과 꾳말의 습득은 자신을 어쩌면 더 안으로 숨어버리게 만들거나 드러나게 만드는 매개체였는지 모르겠으나 그것으로 인해 현재의 관계와 과거의 관계가 이어지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란 것을 보여주는 것은 꽃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꽃말이 자신이라는 것을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꽃말을 이해하는 사내(그랜트)와의 관계, 9살때 만난 수양부모(엘리자베스)와의 관계와 그랜트와 엘리자베스의 관계까지 관계속에 숨겨져 있던 자신을 다시 드러내고 그 속에서 빅토리아는 자신의 성향이 어떠한 것인지를 분명하게 깨닫는다. 특히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꽃말을 이해하는 그랜트와의 관계속에서는 생각하지 않던 아이까지 낳게 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던 모든 고통을 가슴 아프게 드러낼 수 밖에 없었던 심정에 대해서 가슴저리게 표현하고 있다. 정말 겪어보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감정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나는 내 가슴을 눈물로 적실 수 밖에 없었다.
과거에 잘못했던 일들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엘리자베스, 그랜트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그때의 일을 사죄하고 이제는 하나의 가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빅토리아의 모습이 감동스러웠다. 그랜트가 말한 <꽃은 꽃이라서 꽃이다>라는 말과 뿌리도 없이 자라는 <이끼>가 앞으로 빅토리아가 나아가야 할 인생의 방향과 일치하고 있음을 간략하지만 정확하게 표현해내는 것 같다. 잔잔하면서도 타인과의 관계와 개인의 심리가 잘 조화된 이 작품을 읽을 수 있게 되어 너무 좋은 시간이었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