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허난설헌. 아마 그 이름은 오래전 역사시간에 스쳐지나간 인물로 기억한다. 홍길동전을 쓴 허균의 누이로만 기억하는 허난설헌. 시와 문필에 뛰어난 재주를 가진 것으로만 기억하는 인물이 이번에 아픔을 간직한 한 여인으로 다시 태어났다. 국내 최고 권위의 여성문학상인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품인 [난설헌]이 바로 그것이다. 처음에는 난설헌이라고 해서 누구인지 몰랐다고 말하는게 사실일 것이다. 허라는 성을 빼놓고 보니 마치 처음 들어본 사람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허난설헌인걸 알고 이 작품을 접하게 되었지만 앞서말한 것처럼 사전 지식이 백지장처럼 없었기에 작품이 말하고자하는 느낌은 종이가 먹물을 흡수하듯 빠르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었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고전적인 느낌의 문체는 소설의 주인공인 허난설헌의 시대적인 느낌을 풍부하게 살려준다. 앞부분을 읽었을 때는 현대 문체에 익숙해있어서인지 그 시절을 보여주는 고전적인 문체를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도 있었다. 그렇지만 한 인물이 느꼈야했던 시대적 상황을 잘 표현해줌으로 인해서 읽는 내내 빠져들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에서는 허난설헌의 슬픔을 결혼이라는 시점부터 이야기하고 있는데 사대부의 여식으로 태어나서 시와 문필에 우수한 재능을 보이지만 결혼이라는 문을 들어서면서부터 본인을 비롯한 주변의 고통들이 서서히 드러난다. 사회적으로 여자에게 주어진 우수한 재능과 학문적 지식은 봉건적인 사상으로 인해서 억압되었고 결혼을 한 시댁에서의 대우는 사회적 시선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자신과는 동떨어진 사람과의 혼인은 주변사람들로인해 적대시하게 만들면서 본인 또한 답답함과 우울함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항상 신중한 생각과 태도는 시댁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만큼 고리타분하고 누굴 업신여기는 것이 아니었음을 읽는 내내 느낄 수 있었다.  

짧은 인생을 마감할 수 밖에 없는 안타까운 일들이 발생되면서 정신적으로 강하다고 생각했던 그녀의 무너짐이 마치 나의 마음인 것 마냥 아파왔다. 그 시대적 상황이 비록 여자인 본분을 지키라고 말하고 있지만 가혹하리만큼 거세게 저항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그녀 자신도 답답함을 표현할 방법이 적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전체적인 책의 분위기는 슬픔과 안타까움으로 표현되는 것이 맞지만 그것이 갑자기 다가오는 슬픔이라기 보다는 가슴에서 슬며시 스며나오는 아픔의 연장선이라는 점에서 그 슬픔이 배가 되는 것만 같다. 남자가 득세한 시절에 여자로 태어나 모진 핏박과 고통을 가졌던 그녀를 생각해본다면 그건 비록 허난설헌이라는 한 개인을 표현한다기 보다는 그 시대에 똑같은 고민을 가졌던 여성들을 상징화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슬픔의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 부분도 있을 정도로 작가는 여러상황속에 그녀의 아픔을 잘 표현해내었다. 그러나 슬픔의 강도는 점차 마음에 쌓일 정도로 서서히 깊어만 가는 것을 읽을 수록 알 수 있었다. 중간 중간 허난설헌의 독백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누구에게도 표현하기 힘들었던 가슴속의 말들이 담겨져 있었으며 마치 작가가 그 시대의 잘못된 억압들에 대해서 외치는 것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 죽음에 있어서도 그녀가 가슴에 담았던 느낌들을 마치 시적표현을 써가면서 아름답게 표현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고전적인 문체와 개인의 슬픔이 어우러져 나 또한 그녀의 고통이 얼마나 심했는가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