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조용히 사랑한다 - 자라지 않는 아이 유유와 아빠의 일곱 해 여행
마리우스 세라 지음, 고인경 옮김 / 푸른숲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부모의 입장에서 갓 태어난 아이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다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말로도 표현하기 힘든 고통이 가슴에 여미어 올 것 같다. 신을 믿지 않는다 하더라도 신을 믿고 싶어지고 비판하고 싶어질 것 같다. "신이시여 왜 저에게 이런 고통을 주십니까?"라고. 그렇지만 그러한 고통도 순간일 수 있기에 생각에 따라 행복으로 바꿀 수 있는 마음은 항상 가지고 있음을 알지 못한다. 스페인에서 건너온 이 책에는 작가 자신의 아들인 유유가 가진 장애로 인해 느낄 수 있었던 아버지로서의 슬픔과 행복 그리고 사랑을 많이 담고 있다. 그 슬픔은 세상 모든 장애를 가진 아이의 부모가 느끼는 것과 비슷하고. 행복은 비록 장애이지만 그 아이와 나누었던 시간 순간 순간에서 느끼는 것과 비슷하며, 사랑은 그 아이의 장애마저 부모에게는 사랑의 표현이라는 걸로 대처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태어날 때부터 이상한 점을 발견하면서 자신의 아들이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알지만 심각하기 보다는 의연하게 대처하려는 모습이 내면의 슬픔을 감추려는 듯하게 보여 가슴을 저려오게 만든다. 유유가 태어나기 전 부터 여행을 즐겼다는 작가는 유유가 태어나면서 더욱더 가족과 여행을 많이 하기로 다짐하고 약 7년이라는 시간동안 많은 곳을 다닌다. 그 여행하는 순간순간에 유유로부터 느낄 수 있었던 좋았던 감정이나 따가로운 시선들 그리고 사회적 풍토를 거침없이 써내려간다. 그 경험하나하나는 비밀스럽고 신비스러우며 마치 아무에게서나 느끼기 힘든 색다른 경험인 듯이 보여진다. 특히 식당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보도를 점거하면서 이동에 불편을 야기시키는 평범한 아이들 부모의 태도는 너무 불쾌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그렇지만 감정적으로 대처하기 보다 자신의 의견을 확실히 제시하면서 그런 태도를 저지시키는 모습은 장애를 타인보다 약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강인한 자신감의 또다른 표현인 듯 보였다. 


장애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의 부모라는 시선에서 바라보는 유쾌한 표현(45p 침훈장)은 아픔을 감추기 보다 공통된 이들에게서 느낄 수있는 비밀스러운 암호와 같이 느껴졌다. 또 휠체어에 앉아만 있어야하는 유유의 모습으로부터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는 마음을 보이는 부분에서는 어쩌지 못하는 가슴 아픈 마음을 절절히 느끼게 했다. 가장 평범한 달리기조차 하지 못할 거라고 마음속으로 다짐해버리면서 작은 희망이 꺼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지만 작가의 대단한 상상력이 실제로는 되지 않는 부분에까지 힘을 보여주며 마지막에는 이루어내는 모습이 눈물 겹도록 대단하게 느껴졌다. 폴리스코프라고 해서 책장을 넘기면 그림이 움직인는 효과를 보이는 점을 이용하여 그 부분을 자신의 절망적인 부분까지 희망으로 바꾸어 놓는 기적을 만들어낸다.  


아이의 희귀병을 알고 그 아이가 낫기만을 바라는 아버지(작가)의 마음은 너무나 간절해보였다. 세상을 아이의 장애와 바꾸고 싶다고 표현할 만큼 아이가 낫기를 바라고 있었고 그 병의 치료가 딱히 없기에 비과학적인 치료까지 서슴치 않고 행해보기까지하면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마음을 간절히 보여준다. 그러면서 유유의 누나가 병원에서 치료하는 일이 일어났을 때 의사에게 병의 치료법을 알고 있냐고 물어보는 부분은 역설적으로 유유의 치료법이 없다는 것을 상기시켜서 아버지 자신도 어쩔 수 없음을 안타깝게 표현했다. 이런 여러가지 경험과 상황속에 펼쳐진 것들은 단지 절망적인 것만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책을 다 읽었을 때 절망보다는 간절하면서도 꼭 이루어야할 희망이 더 많이 느껴졌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마지막 부분에서는 휠체어에 타고 있어서 절대 평범한 아이들처럼 달릴 수 없는 유유를 아버지만의 간절한 희망으로 표현해 내었다. 나도 처음에는 뒷부분인 그림을 먼저 보았기에 그 그림이 무슨의미가 있을까 스쳐지나갔는데 전체 내용을 읽고 보니 그것은 정말 이루어낼 수 없는 일을 이루어내버린 아버지의 마음이 가득 담긴 소원이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이를 바라보며 느끼는 삶의 순간순간은 슬픔보다 행복이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록 책이지만 앞으로 달려나가는 유유의 모습을 보며 절망이나 슬픔에 빠진 이들이 행복의 새싹을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