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모어 이모탈 시리즈 1
앨리슨 노엘 지음, 김경순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영화"클릭"을 보면 주인공이 미리 다른 사람의 생각을 기계로 읽어서 적절한 답변을
내는 장면이 나온다. 어떤사람이 다른 사람의 생각과 기분을 꿰뚫어볼 수 있다면
자신에게는 어떠한 변화가 찾아오게 될까? 보통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그 능력을 이용할 수 있을 듯 하다. 그렇지만 책에서 나오는 주인공인
에버에게는 그것이 지울 수 없이 큰 고통이다.

책은 전형적인 10대의 사랑을 이야기하고 있다. 단지 그 속에 어떠한 능력과 힘을 포함
시키면서 단순한 사랑외에 영원한 사랑을 이야기한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떤 특별한 능력을 가지게 된 에버. 그것으로 인해
사람의 마음을 읽고 기분까지 느끼게 된다. 어떻게 그 능력을 가지게 된지는 알지
못하지만 어느 순간 자신이 남과 연결고리를 가지게 되었다고 알게된다.
에버 앞에 나타난 데이먼. 멋진 모습과 이목구비덕분에 많은 여학생들의 눈길을 받게
되지만 실제적으로 나타난 이유는 바로 에버 때문이었다.

이렇게 두명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이야기는 초반에 에버의 심리적 상태
중점적으로 표현하면서 그 주변의 헤이븐 마일스와의 일상적인 이야기들을 많이 보여준다.
특히 에버의 심리상태가 사랑이 이끌어나가게 되는 과정보다 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사랑에 소극적인 10대를 표현하는 측면이 많이 있는 반면에 그것이 너무나 과하다고
느껴져서 과연 영원한 사랑이 언제쯤 밝혀지는 지에 대한 궁금증이 일 정도였다.

실제적으로 멋지게 표현된 데이먼의 경우 뒤의 복선을 은연중에 남겨두어서 에버에 대한
모든 것들이 단순하게 펼쳐진 상황상황이라기 보다 사랑을 이끌어내는 또 다른 표현
이었다는 것을 뒷부분에서 알려준다. 앞서 말한 초반의 에버의 감정부분이나 능력이
좀더 집중적이어서 데이먼의 능력이 어떤 것일지 궁금해 하다가 작은 부분에서 특정
능력을 가진 인물을 생각해내었는데 반전 아닌 반전이랄까? 에버가 생각하거나 독자가
생각하기에 그것이라고 판단한 부분에서 아님을 말하는 것이 크게 반전이라고 느끼기에는
느낌이 약했다. 그래서 일까 후반부에 가면 나오는 사랑에 대한 깊은 감정은 당연하다고
하기에는 의문이 많이 든 것이 사실이다. 

거기에 추가적으로 사랑에 반대하는 인물이 등장하면서 에버를 없애려는 것은 약간 뻔함이
드러나보여 아쉬움이 컸다. 그것도 많은 부분이 할애된 것이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에버에 집중된 많은 부분에 비해 사랑의 확인이나 과정이 너무나 작은 것이 조금은
작게 느껴졌고 그 사랑속에 특별한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 그리 대단하게 보여지지도 않았다.
주변의 인물들과의 관계속에 소소하게 펼쳐진 부분도 너무나 적어서 읽는 내내 한사람의 감정
의 전부를 읽는 듯한 느낌이 많이 들었다.

사랑이라는 것을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보여주는 것 외에도 스스로에게 느껴지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은 주인공과 동일한 10대독자들이 느끼기에는 적절한 측면도 있다.
고전적인 사랑을 현재의 10대에 맞춰서 표현하려는 요소는 괜찮았으나 약간은 뜬금없는
것들이 소설의 전체적인 매력을 상실시키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