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도 인 더 헤이그
하지환 지음 / 황매(푸른바람)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일본이 다시금 독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내용의 뉴스가 나와서 괜시리
애국심이 발동해서 울컥한적이 있다. 그렇지만 독도가 우리나라땅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확실히 인지하고는 있지만 그 사실을 정확히 일본인에게 설명하라고 하면 근거를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이러한 현실들은 우리나라가 그동안 많이 일본에게 정신적 압박아닌 압박을 받은 근거를
제공한 거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많은 언론에서도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주장이
소설에서 나오는 영토분쟁지역으로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많이들 이야기 하고 있다.
그만큼 독도는 현실속에서 거의 소설내용과 같은 상황에 처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것이다.
역사적사실과 현재와의 긴 고리속에서 우리에게 남겨진 독도. 그것이 만약 일본의 뜻대로
분쟁화되었을때 국제사법재판소로 넘어간다면 어떻게 될것인지 저자는 이 소설로 그 상황을
미리 예측해보고 독자들에게 더욱더 각인시키고 있다.
일본의 독도에 대한 치밀한 생각들과 정치적 관점들 그리고 내부에서 펼쳐지는 각각의 상황들은
일본인이라도 생각하기 어려운 것들이 너무나 많을 것 같다는 측면에서 저자의 확대적인
생각에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그것이 비록 지금의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측면도 있겠으나
추후에 일본이 어떤생각을 할 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단순한 예상으로
그쳐보이지는 않는다.
일본의 작전 그리고 유엔의 중립적 결정인 사법재판소로의 판결 그것을 대처하는 우리나라의
모습들이 현재는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더라도 미래의 일일 수 있기에 좀 더 가까이
다가왔다. 단순한 애국심으로 독도를 품는 것이 아니라 사실과 근거를 바탕으로 입증을 해야겠기에 미래에 할 일들이 많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말하는 듯 하다. 이렇게 심각하게 국가적 대립구도의 상황속에서도 간간히 볼 수 있는 개인간의 애정은 그리 사소하게 보이지 않는다. 어쩌면 너무 무겁게 이끌어나갈 수 있는 부분들을 국가적 측면이 아니라 개인적 측면을 바라보면서 잠시나마 편안함을 이끌어내려는 작가의 배려가 돋보인다.
이렇게 사법재판소로 넘어간 뒤에 일어나는 재판의 절차. 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고 알지도 못하는 소시민의 한 사람으로 여러가지 법용어들은 독도라는 울타리에서 한번쯤
관심을 가져야 하는 소재로 지식적 측면에서도 좋은 역할을 했다.
제목에서 느껴졌던 독도에 대한 심각한 분쟁사실 즉 재판에 대한 이야기가 다분히 많이 있을
것이라고 느껴졌던 것에 반해서 실제로는 독도가 확실히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분명하게
밝혀주는 고문서인 가락국기의 행방을 찾는 것에 조금더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 어쩌면 조금은
생각 외인 것처럼 느껴졌다.
그렇지만 가락국기를 찾기위한 개인의 노력과 역사적 연관성 그리고 상황상황마다 긴박하게
돌아가는 시간이나 장소들은 마치 내 머리속에 카메라가 달린 듯 그 속안으로 더욱더 빠져들게
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매력은 작가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옅볼수 있는데 여러가지
고증적 신뢰감을 얻기 위해서 많은 지역을 실제로 탐방하고 책과 논문을 참고하면서 5년간
노력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생각보다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판부분은 우리가 생각은 하지만 자세히는 말하기 힘든
역사적 부분을 잘 설명해주고 있고 우리의 주장뿐만아니라 일본의 증거들도 우리가 충분히
고려해봐야할 부분이 많아서 많은 생각들을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지만 처음 제목을 봤을 때 내가 생각했던 재판의 결과가 원하는 대로 나온것이 아니라
서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만큼 개개인의 지식도 중요하지만 국가적 대책이 얼마만큼
중요한 것인지 다시금 깨닫게 하는 부분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름 바람이 있다면 영화화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개인적 상황과
국가적 상황이 결부되면서 이루어지는 사실들과 감정들이 너무나 애뜻하게 느껴져서
엄청 지지해주고 싶다. 그만큼 한번쯤은 알아야 될 사실들이 많아서 남들과 공유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내가 이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이 너무나 영광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