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로 속 남자 속삭이는 자
도나토 카리시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단한 추리소설이다.
이 책을 읽고 딱 든 생각이다.
그동안 미국식 추리에 익숙해서 이 책이 매우 독창적으로 느껴지는걸까.
아니다. 이건 진짜 찐이다.
책을 덮기 전까지 결말을 알수 없다.
읽으면서 의심했던 그린박사, 경찰, 사설탐정 모든 예상이 빗나가고 심지어 범인 외에 반전도 있다.
잔인하지 않지만 읽으면서 인간의 본성에 대한 회의로 으스스하다.
13세에 학교 킹카의 데이트제안에 설레이며 가던 그 길에서 주인공은 납치를 당한다. 그리고 15년 뒤, 그녀는 나체 상태로 늪지대에서 발견된다.
그녀는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지만
깜박 깜박 머리속에 켜지는 기억의 조각들을 뱉어낸다.
그녀를 가둔 회색벽의 미로와 방들 그리고 괴물과의 게임들에 대해.
그녀를 다독이며 이야기를 끄집어내는 그린박사와,
범인을 쫓는 공식적인 두명의 경찰과,
미해결 납치사건을 어려움속에 추적하는 두명의 경찰과,
그리고 15년전 의뢰를 받은 사설형사.
그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후 마음의 빚때문에, 또 시한부이기 때문에 무모하도록 의욕적으로 사건을 파헤친다.
늘 토끼탈을 쓰고 범행하는 버니는 '그' 이기도 하고, 다른 버니의 희생양이기도 하며, 그들의 후계자이기도 하고 절대 피해자이지 않았던 자의적 사이코패스이다.
그, 그리고 마지막 미로속에 남겨진 그는
같은 그 일까? 다른 그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살인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을까? -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12가지 충격 실화
페르디난트 폰 쉬라크 지음, 이지윤 옮김 / 갤리온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형사재판 변호를 25년간 맡아온 저자가 자신이 변호했던 이야기 중 믿을 수 없는 사건들을 단편단편으로 엮은 책이다. 단지 변호사의 관점으로 서술한 것이 아니라 피의자의 시각으로 다룬 사건도 있고, 목격자의 시각으로, 또는 변호인의 시각으로, 배심원의 시각으로 소설처럼 때로는 추리소설처럼 구성하여 몰입감이 완전히 대단하다.
법의 허점을 이용하여 절차상 처리과정을 문제삼아 극악 무도한 범죄자가 법망을 빠져나가기도 하고, 한편으론 살인범으로 몰린 누군가는 정황상 증거만으로는 기소되지 못하는 법 덕택에 혐의를 벗게 되기도 하는 사건들을 보면서 법의 체눈의 크기는 어느정도가 되어야 정의로울 수 있는가에 대한 심오한 생각을 하게 하기도 한다.
배심원이 느끼는 부담과 더불어 책임감, 변호인의 변호때문에 풀려난 누군가가 복수 범죄를 저질렀을 때의 죄책감, 변호를 성공적으로 한 후 진범임을 알았을 때의 반전과 복합적 감정을 독자에게 고스란히 넘겨준다. 그 아이러니를 느끼는 것은 오롯이 독자의 몫인것처럼.
책을 받은자리에서 끝까지 읽어버리게 만드는,
하나하나가 다 한편의 영화 시놉시스같이 서스펜션한데, 이게 다 실화라는게 마음을 무겁게 하기도 한다. 어떤 사건은 너무 끔찍해서 잔상이 오래가기도 하고 어떤 사건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진심 고뇌하게 만들기도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료실에서 만난 붓다 - 불교 명상과 심리 치료로 일깨우는 자기 치유의 힘
마크 엡스타인 지음, 김성환 옮김 / 한문화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이 평안해지는 불교명상법을 정신과전문의가 풀어쓴 책..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실로 읽는 세계사 - 살아남기 위한 세계 왕실의 치열한 생존기
우야마 다쿠에이 지음, 전경아 옮김 / 책밥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와는 내용이 너무 달라서 당혹스러웠어요.일본의 천왕왕조에 대한 찬양책...작가의 당황스러울 정도의 편향된 생각을 풀어쓴책. 시민혁명은 다수의 희생이 있었으니 경악스러운 일이며 이를 막기위해선 왕정제도가 있어야하고 다문화사회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독재자가 필요했다고 쓴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로 산다는 것 - 융 심리학으로 보는 남성의 삶과 그림자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페미니즘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남자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남자로 태어나서 산다는 것에 대한 고독감에 대하여 프로이드와 융의 심리학 관점에서 쓰여진 책입니다. 아쉬운 점은 남성학에 있어서 아직까지 프로이드와 융의 심리학 이후의 이론적 토대가 나오지 않은것은 유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