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 것인가 - 힐링에서 스탠딩으로!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년이 된 이후 오랫동안 내 삶을 지배한 감정은  기쁨이나 즐거움이 아니었다.
수치심과 분노, 슬픔, 연민, 죄책감, 의무감 같은...것이었다"

정치인 보다는 작가로서의 삶이 더 행복하다고  이야기 하는 유시민 작가의 책입니다.
요즈음 방송에서 논리와 해박한 지식으로 무장한  무적의 말빨로 인기 방송인으로 거듭나고

계신분이죠

그러나, 제 기억하고 있는 유시민은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을 건강보험과  면바지 차림으로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가던 국회의원, 100분토론, 노무현대통령 탄핵가결 대한 오열
부산시장, 경기지사 낙선. 노무현태통령 서거.
그리고 작은 정당을 창당하며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던 모습이었습니다.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고 기득권 정치인들에게  철저히 배척당했지만 자기 목소리를 끊임없이
내는 정말 멋진 정치인을 보며  저 양반이 꽤나 힘들겠구나 생각했는데
정말 많이 힘들었던 모양입니다.

그러나 온 열정을 쏟아 좀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보자고 끊이없이 이야기 했던 목소리는

우리 사회의 많은 곳에서 아직도 메아리가 되어 울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온순한 사람을 가장 열렬한 투사를 만들어 내는  부정한 시대한 온 몸으로 살아온 한

사람으로 저는 기억합니다.

작가가 쉰다섯에 쓴 이 책은 무엇보다 교조적이거나  교훈적이지 않아서 좋습니다.
작가의 내면을 들어다 보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차근차근 풀어냅니다.

일과, 사랑과 놀이와 연대. 자신의 살아온 날들에 대해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날들을  어떻게 채우며 살아가고 싶은지
자기 자신에게 이야기 하듯 글을 풀어냅니다.

누군가를 가르치거나 훈계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며 글을 쓴듯하여,
불편함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삶과 죽음, 개인과 사회, 자유와 공동선, 진보와 보수, 신념과 관용, 욕망과 품격,

사랑과 책임, 열정과 재능 등 우리의 삶을 형성하는 물질적 정신적
요소들에 대한 나름의 시각으로 해석합니다

특히나 신념에 대한 작가의 시선과   진보와 보수에 대한 시각은 많은 부분 동의가
되기도 하고 그동안 생각해왔던 것과는 다른  시각이라서 새롭기도 했습니다.

작년쯤 어렵지만 충격적으로 읽었던  카뮈의 "시시포스 신화"에  대한 작가의 답변도

아주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죽음에 대한 이야기도 여운이 깁니다.
인간의 삶이 생명에만 있는것인가?
내가 나의 의식을 잃어버린 상태의 삶은  과연 무엇인가? 전신마비 환자의 자살과
스티븐 호킹박사의 삶에서 과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을까?
생명은 선이고 죽음은 악인가? 결국 삶의 완성이 죽음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이책에서 죽음에 대해 말하는 부분이  더 많이 와닿고 인상깊었습니다.
생전 장례식을 하고 싶다는 작가의 글도  많은 부분 공간되기도 합니다.

이책을 내내 차지도 뜨겁지도, 열정도 재능도 없이 하루하루  꾸역꾸역 쑤셔넣듯 살고 있는

저의 하루하루가 참 비루하게 생각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저도 "크라잉 넛" 참 좋아합니다.

< 책중에서((p.56) >
왜 자살하지 않는가?’ 카뮈의 질문에 나는 대답한다.
가슴이 설레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이 있다.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너무 좋아서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뛰어오를 것 같은 일이 있다.
누군가 못 견디게 그리워지는 시간이 있다.
더 많은 것을 주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가 없어
미안한 사람들이 있다.
설렘과 황홀, 그리움, 사랑의 느낌….
이런 것들이 살아있음을 기쁘게 만든다.
나는 더 즐겁게 일하고 더 열심히 놀고
더 많이 더 깊게 사랑하고 싶다.
더 많은 사람들과 손잡고 더 아름다운 것을
더 많이 만들고 싶다.
미래의 어느 날이나 피안의 세상에서가 아니라,
‘지금’ 바로 ‘여기’에서 그렇게 살고 싶다.
떠나는 것이야 서두를 필요가 없다.
더 일할 수도 더 놀 수도 누군가를 더 사랑할 수도
타인과 손잡을 수도 없게 되었을 때,
그때 조금 아쉬움을 남긴 채 떠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