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도를 기다리며(사뮤엘 베케트)

연극으로 제목만 알고 있던 책입니다. 책 자체가 희곡이네요.
첨엔 정말 이상하고 바보같다고 생각했는데 점점 빠져드는 신기한 책입니다.
책의 뒷장의 ...
'<고도를 기다리며>는 20세기 후반 서구 연극사의 방향을 돌려놓은 부조리극의 대표작이다.

작품에 갈린 허무주의적이고 바극적인 세계인식은 인생의 부조리를 인식하고 삶의 의미를

찾으려 했던 전후 실존주의 문학 흐름의 반영이다' 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이틀동안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입니다.

어딘지 모를 한적하고 황량한 시골길 앙상한 나무가 서있는 언덕길에서 60년이 넘도록

"고도"를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구두를 제대로 벗지도 신지도 못하는 바보같은 모습에 어이없기도 하고 주머니속 순무과 당근에 웃음이 나기도 했지만....
목을 메달수도 없는 앙상한 나무와, 멀리서 들리는 듯 들리지 않는 듯 부르는 소리에 낙심하고

기대하는 모습이 애처롭기도 하지만..

페이지를 넘기면 넘길수록 책장을 넘기는 손끝이 묵직해집니다.
블리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여전히 그 곳에서 "고도"를 기다리며 지루해 하는 모습이 점점

 다가와 버티기가 힘들어 지기도 합니다.

언제 올지 모르는 "고도"를 기다리며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질문을 하기도 하고 운동을

하기도 하고, 서로 욕하기도 하고, 춤추기도 합니다.
그 지루한 시간을 버티기 위해서 말입니다.

미래의 무언가를 위해 알수 없는 무엇인가를 위해 오늘 하루를 겨우겨우 버텨내는 "나"도

블라디미로이며 에스트라공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고도"의 약속을 상기 시켜주는 소년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루한 기다림을 끝낼 수 없도록 저녁마다 찾아와 고도의 약속을 이야기하는 소년 때문에

그 기다림을 포기할 수 없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포조와 럭키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이죠. 럭키를 억압하는 포조와 포조의 억압을

통해서만 자신을 표현하는 럭키. 억압과 억압받는 인물을 이야기 하지만

어쩌면 둘의 관계도 공생인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작가는 작가 자신도 "고도"가 누구인지 무엇인지 모른다고 했다죠. 알았다면

소설속에 썼을 거라고 했답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저에게 "고도"는 "죽음"인 듯 하기도 합니다.

"고도"의 약속따윈 없다듯 언덕을 넘고 멀리 떠나고 새로운 친구들을 만들고 그리고

어딘선가 고도를 만난다면 반갑게 인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