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첫문장만 알고있던 소설입니다. 국경이 국가와 국가의 경계선이 ...
아니라 일본의 현과 현의 접점을 일컫는 말이네요.
시마무라에게 터널은 자신이 사는 세계에서 고마코와 요코가 사는
세계로 들어가는 국경이었던 같기도 합니다.

일본의 첫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로도 유명한 가와바타 야스나리.
아시아에서 2번째 수상자일겁니다. 아마도.
(아시아 첫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인도의 타고르 라는 시인일
겁니다. 아마도.)

저명한 이름만 알고 있었고 그의 책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주인공인 시마무라는 서양 무용에 대해 글을 간간히 기고하며
물려받은 유산으로 여행을 다니는 그야말로 한량입니다.

시마무라는 서양 무용에 대해 글을 쓰지만 정작 직접 본적은 없이
다른 글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고 자신의 상상력을 보태 글을 씁니다.
무용을 글로 보고 쓰는 거죠. 사마무라의 서양 무용에 대한 애정은
마치 요코를 향한 애정 같기도 합니다.
차장을 통해 비쳐진 그녀의 얼굴처럼 말이죠.

시마무라의 아름다움을 향한 끝없는 탐미적 본능, 그러나 모든것을
감싸안는 허무, 고독, 죽음의 그림자 이런 정서가 글의 전반적인
정서인 듯 싶기고 합니다.
(그러나 제가 제대로 읽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는 잘 모르겠네요. 이소설이 이렇게까지 유명한 이유를요.
눈덮인 산골 마을에 순간순간 열정으로 뜨거워지는 게이샤 고마코.

청순하고 순수한 처녀로 상징되는 요코.
그 둘의 관찰자인 듯 지켜보는 시마무라. 이게 뭔지 잘 모르겠네요.
결국 사람은 아무것도 아니다?? 자연의 아름다움??
허무할수록 아름답다?? 헛됨의 미학???
아무래도 모르겠네요.

책 뒷 장에
'니가타 현의 온천 마을을 무대로 펼쳐지는 세 사람의 정염과 미묘한
감정 변화를 그린 [설국]은 아름자운 자연과 유한한 인간 존재,
정열과 허무 사이의 대비가 돋보이는 일본 최고의 서정소설이다.
명확한 플롯이 없는 대단히 모호한 작품이자 감각적인 문체와
우수 어린 묘사로 그 누구나 빠져들게 할 만한 명작이다'
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잘 모르겠네요. 모호한 작품인건 알겠는데 그렇게 빠져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잘 모르겠는게 이 소설의 핵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의 수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소설이었습니다. 아쉽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