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벨라루스 저널리스트라고 소개되어 있는 스베틀라나 알렉시에비치
201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이기도 합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작이라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
읽은 책입니다.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여자들의 이야기입니다.
참혹한 전장을 겪어내는 소녀들의 이야기.
독특한 점은 그녀들에 대한 가공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녀들의
목소리를 직접 담아냈다는 것입니다.
영웅적 소비에트 전사로서의 여성이 아니라 전쟁에서 수많은
죽음 목도해야 했던 여성의 아픔과 고통에 주목합니다.
전쟁을 승리로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벌어진 실상과
여성들이 겪어내야 했던 아픔과 고통의 목소리를 전합니다.
"목소리" 작가가 천착했던 기록의 방식입니다. 그녀의 집요함은
소설이상의 감동을 전해줍니다.

상상할 수 없는 고통과 아픔을 그려낸 그 어떤 소설은 미학적
쾌감을 선사합니다.
그러나 현실의 고통과 아픔을 담아낸 목소리는 그 고통과 아픔을
읽는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합니다.
현실의 고통 현실의 아픔은 상상 이상의 세계었습니다.
10대 소녀가 저격병이 되어 총의 쏘아야 했던, 고사포 포병이
되었던 그녀들.
전쟁터에서 키가 자랐던 소녀들. 아군에게 성폭행 당하는
독일여성을 들을 바라보는 그녀들의 고통.
생리마저 멈춰버리게 했던 전쟁터. 승리했지만 환영받지 못했던
그녀들. 전쟁에 참여했던 사실을 감추고 일상을 살아가고자
노력했던 그녀들. 전쟁의 속살은 참혹하기 이를데가 없습니다.
영웅적 관점에서 또는 승리자의 관점에서가 아닌 전쟁을 겪어낸
그녀들의 시선에서 그녀들의 목소리로 엮어낸 이야기는 소설보다
진한 감동을 만들어 냅니다.

그동안 읽은 몇권이 책이 겹쳐지기도 합니다.

헤르타 뮐러의 "숨그네"나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은
아름답고 잔혹하지만 미학적 쾌감을 가져다 주는 소설이었고,
한강의 "소년이 온다"는(전쟁은 아니지만 겪은 사람에게는
전쟁같은 일었겠죠) 아픈 사실을 아픈 이야기로 풀어냅니다.
그런데 이 책은 아프고 고통스러운 사실은 그대로 드러냅니다.

"소년이 온다"가 피가나고 뼈가 드러나도록 다친 상처의 흔적같은
느낌이라면 이 이야기는 그 피와 뼈가 드러난 상처를 드대로
보여주는 것 같은 것은 느낌입니다.

노벨 문학상, 이름값은 분명히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