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맨부커상의 빛나는 한강의 “채식주의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두 번째 만나는 한강 작가의 작품입니다.
“채식주의자”는 3편의 연작 소설입니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 3편의 연작소설입니다.
특이한 점은 주인공은 영혜라는 여자지만
채식주의자의 화자는 영혜의 남편이고, 몽고반점의 화자는 영혜의
형부이고 나무불꽃의 화자는 영혜의 언니입니다.
제가 가장 놀라웠던 작품은 “몽고반점”입니다.
“몽고반점”은 야~~ 하기도 하지만 굉장히 시각적입니다.
그림이라는 장치가 시각적 효과를 주는데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글로 읽는 소설을 그림이라는 장치를 통해 시각적 효과를 주는
것은 꽤 신선했습니다.
“채식주의자”는 영혜라는 평범한 너무나 평범한 여자가 꿈과,
몇가지 사회적 또는 가부장적인 폭력에 의해 채식주의자가
되어가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야기의 묘사가 매력적이긴 하지만 영혜가 채식주의자가
되는 이유는 선명하지 못합니다.
애써 이해해 보자면 화자인 영혜의 남편이 영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결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매우 그로스테크하지만 시적인 문장이 아름답습니다.
특히나 마지막 영혜가 토플리스 차림으로 새의 목을 물어 뜯는
모습은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영혜가 불편해하는 브래지어. 어쩌면 굉장히 폭력적인
속옷입니다.
제가 잠깐이지만 파리를 여행할 때 부러운 모습 중 하나가
브래지어를 하지 않은 여성들이 꽤 많았다는 것입니다.
겉옷으로 돋으라지는 모습이 꽤나 당당해 보였지만 전 자신
없습니다.
“몽고반점” 문제적 작품이죠. 예술가의 예술적 정점에서 결국
나락으로 떨어지고 마는.
예술이란게 무엇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형부의 욕망은 과연 무엇일까요?
예술의 고갱일까요 욕망의 끝일까요? 잘 모르겠습니다.
야한데 잘 모르겠는데 그래서 좋은 소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무불꽃” 결국 미쳐버린 영혜와 어릴 때부터 영혜를 돌봐온
영혜언니인 인혜의 시점입니다.
소설적 완성도를 본다면 “나무불꽃”은 없어도 괜찮을 듯 합니다.
미쳐버린 영혜로 정리하는 것은 독자의 소설적 상상력을 제한해
버리는 듯 합니다.
그러나 이소설에서 가장 감정이입이 되는 인물은 인혜입니다.
과연 그녀의 잘못은 무엇일까요? 무엇 때문에 그녀는 영혜를
마지막까지 책임져야 했을까요?
어쩌면 타인 폭력을 이유로 자신을 놓아버린 영혜가 또 다른
사람들에게 폭력을 행사한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자신의 세계로 도망가버린 영혜도 안쓰럽지만 영혜가 또 다른
폭력이 된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 합니다.
그래도 “나무불꽃”은 많이 아쉽습니다.
이전에 읽었던 “소년이 온다”는 우리 시대가 겪은 아픔을
곱씹게하기 때문에 같은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우리에게 굉장히
아픈 이야기입니다. 그때는 더 심했을 것이고 지금도 그들의
고통은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피부를 바늘로 찌르는 아픔이 있는 소설입니다.
그러나 “채식주의자”는 그로스테크하고 어둡고 몽롱하지만
문학적 미학의 쾌감이 있는 이야기입니다.
“채식주의자”는 대중적이거나 현실적이지 않아 호불호는 많이
나눠질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