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홀릭 - SBS 김영욱 PD, 내가 사랑한 피아노 명곡들
김영욱 지음 / 북폴리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생뚱맞기 이를 데 없이 어울리지 않는 피아노 책입니다.
피아노를 물론이고 어떤 악기도 다룰 줄을 몰라 악기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는 것는 것도 사실입니다.
책에도 나온 내용이지만 피아노 치는 남자에 참 멋있습니다. ...
작가는 피아노 치는 남자가 멋있는게 아니라 잘생긴 남자가
피아노도 치는 것이 멋있다고 하네요.
제가 늘 아들 녀석에게 “피아노 치는 남자는 얼굴까지 가지도
않는다. 피아노 치는 남자는 등도 멋있다”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그 10살짜리 초딩이 멋진 남자가 되기위해 열심히,
억지로 피아노 학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저자는 전문 피아니스트가 아니라 SBS 예능 PD랍니다.
프로 뺨치는 아마추어를 프로마추어라고 한다는데 그런 류의
사람인 듯 합니다.
한가지도 제대로 하는게 없는 저는 그저 부러울 따름입니다.

저자가 직접 연주한 CD도 함께들어 있어서 듣기도 좋습니다.
음악과 같이 들이면 좋겠지만 읽는 속도와 음악과 맞추기가
쉽지 않아 CD는 차안에서 주로 듣는데 참 좋습니다.

피아노 음악이 좋은 줄을 알았지만 연대순으로 이렇게 정리해서
읽고 들으니 무척 고상해 지는 느낌입니다.

헨델,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슈만, 리스트, 드뷔시, 라흐마니노프, 라벨. 어디서 한번쯤은 들어왔는데.. 이렇게 쫘악 한번 펼쳐서 보니 눈에 들어오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 새롭게 느낀 작곡가는 모차르트 였습니다.
섬세한 감정의 작곡가였다는 설명을 듣고나니 흔히 들었던 모차르트의 음악이 다르게 들렸습니다.
모차르트의 곡들은 마치 둥근 유리 공 같았습니다. 유리처럼
영롱하고 맑지만 어디 하나 빈틈없는, 그러나 작은 균열도 용납하지 않는 그런 음악 같았습니다.
그래서 좀 맑고 영롱하지만 마음이 졸여지는 부분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CD를 들으면서 제일 좋았던 곡은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즈”
였습니다. 제 취향에 딱 이었습니다. 헨델의 “사라방드”도 좋구,
라벨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도 좋았습니다.

그래도 가장 기억에 남는 작곡가는 에릭사티입니다.
딱 작년 이맘때 쯤 갔던 파리에 몽마르뜨 언덕에서 우연히 알게된
사티와 수잔 발라동의 이야기와 그들이 짧은 기간 살았던 작은 2층집. 그리고 그의 음악과 괴팍했던 삶. 벌써 1년 전이네요.
아직도 눈에 몽마르뜨 언덕이 생생한데.
사티가 연주를 했던 카페인 “검은 고양이”는 아직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200년 넘게 같은 자리에 카페가 있고 책에서 봤던 식당이 있고
그림에서 봤던 그 풍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개발이라는 명목하에 일단 부수고 시작하는 우리에 도시화가
얼마나 많은 것들을 묻어버리는지 잠깐 생각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평범한 일상을 사는 것도 쉽지 않은데 취미라는 이름으로 다른
세상을 만끽하는 사람은 참 부럽습니다.

자신이 영위할 수 있는 세계가 많을수록 현재의 부딪히는 일에 좀
더 객관적일 수 있는 것 같기두 하구요.
암튼 현재의 자신을 벗어나 또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건 참 부럽고
부러운 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