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박웅현 "여덟단어"(2015년의 마지막 책)

"인생은 몇번의 강의, 몇 권이 책으로 바뀔만큼 시시하지 않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유는 인생을 두고 이 여덟가지를 함께 생각해보고 싶기 때문이다"

...

자기계발서로 분류되어 있어 쳐다도 보지 않았던 책입니다.
이런류의 책에는 도대체 동의도 감동도 할 수 없거든요.
일단 이책을 자기계발서로 분류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에세이 정도가 어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존(당신안의 별을 찾으셨나요?),
본질(Everything Changes but Nothing Changes),
고전(Classic, 그 견고한 영혼의 성),
견(이 단어의 대단함에 관하여),
현재(개처럼 살자),
권위(동의되지 않는 권위에 굴복하지 말고 불합리한 권위에 복종하지 말자)
소통(마음을 움직이는 말의 힘)
인생(급한 물에 떠내려가다 닿는 곳에 싹 튀우는 땅버들 씨앗처럼)

8개의 단어 대해 작가는 오랜 시간 생각(돈오)했던 것이 분명하고
이제 함께생각해 보자고 얘기합니다.

형이상학적인 단어들이지만 살면서 한번은 꼭 생각해봐야 할 문제들입니다.

제가 여기서 궁금한 지점은 왜 우리 교육은 이런 문제들에 대한
깊이있는 생각을 권하지 않는가 입니다.
사실 이런 삶의 태도에 대한 문제는 아직 어른이 되기전인 청소년기에 생각해 보는 것이 더 필요한데 말입니다.
아이들이 죽도록 공부하긴 해야하지만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지 않는 교육. 어쩌면 또 다른 우민화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좌절의 지점은 저 역시 아이들을 학원으로 밀어넣는 엄마
중 한명이라는 것입니다.
부모에게는 불안감을 아이들에게는 압박감을 조장하는 것이 현실 이기도 합니다.

암튼 아주 가끔 돈오의 지점이 있다 하더라도 점수가 없는 삶이
참 황량하고 척박합니다.
요즈음 제가 좀 그렇습니다. 아닌건 알겠는데 눈감아 버리고, 입 다물어 버리고, 행함을 주저하게 됩니다. 그래서 더 나쁘고 슬프네요.
이렇게 살면서 책을 뭐하러 읽나 하는 자괴감도 듭니다.

그래도 혹시, 너무 생각없이 사는 삶이 무섭고 두렵다면 한번 읽어 보고 생각해 볼만한 주제들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