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버 보이
팀 보울러 지음, 정해영 옮김 / 놀(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리버보이란 책을 처음 보았을 때 해리포터을 제치고 카네기메달수상이란 글씨가 먼저 눈에 띄어 그게 호기심을 자극하는것 같았다. 판타지 소설은 아닌것 같지만 리버보이란 소년을 통해 신비스럽고 애절하면서도 잔잔한 내용으로 엮어진 책 같습니다. 죽음이란 두렵고 낯선 단어를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가는 15세 소녀와 가족의 애틋한 감정이 실린 책입니다. 청소년시기의 행복과 슬픔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밟아주는 단계인 것 같았습니다.
리버보이란 누구일까?
할아버지는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죽음 앞에서도 삶의 끈을 놓지 않고 자신이 해야할 일 하고싶은 것을 끝까지 놓지 않은 소유자이고 그런 할아버지에서 손녀딸 제스가 용기와 함께 힘을 북돋아주고 이별 앞에서 더욱 사랑의 힘이 애절하게 보여주는 작품 이였으며 할아버지의 성격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가족들과 할아버지의 마지막 떠나시는 길을 손녀가 지켜드리고 싶어하는 마음은 어쩌면 조금은 특별한 경우인것 같습니다.
마지막을 고향에서 보내고 싶어하는 할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병세를 알기에 급구 말리는 가족들 하지만 할아버지를 모시고 마지막이 될지 모르는 이별여행을 가족들이 불안한 마음으로 보내게 됩니다. 할아버지를 무척 좋아하고 따르는 손녀딸 제스 그리고 무뚝뚝하지만 손녀를 사랑하는 할아버지가 할아버지의 어렸을 적 떠나왔던 고향에서 겪게 되는 일입니다.
고향에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지만 그곳에서 할아버지는 강을 보면서 당신의 마지막 작품이 되는 리버보이란 그림에 자신의 정성을 다 하지만 힘에 부쳐 뜻대로 되지 않고 이런 할아버지가 안쓰러우면서도 이곳에서 이상한 기운을 느끼게 되고 누군가를 만나게 되는데 바로 할아버지와 자신의 매계체 역할을 해줄 소년을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제스가 이 소년을 리버보이라 부르게 됩니다. 그 리버보이는 제스의 마음을 아는 걸까요? 강의 근원을 찾아나서는 제스와 함께한 리버보이를 통해서 할아버지의 마지막을 행복하게 장식해준 제스, 그리고 리버보이가 바로 할아버지의 과거 속에 할아버지였다는 것, 할아버지의 영혼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할아버지 작품제목의 리버보이가 처음엔 보이지 않고 하나의 강이었지만 제스는 그림전체를 보면서 리버보이라는 소년을 찾았고 그게 할아버지의 자화상 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것 같습니다. 그리고 리버보이의 소원인 강을 따라 바다로 가는 동행을 해달라는 말이 할아버지의 마지막 떠나가시는 것을 뒤늦게 깨닫고 할아버지의 영혼을 쫓아 하염없이 헤엄처나가는 제스, 강의 시점에서 바다를 향한 기나긴 여정동안 강의 모습은 여러차례 바뀌었고 이곳에서 그는 할아버지의 여정이 끝난걸 알게 되고 고요하고 평화롭게 떠나신 할아버지의 얼굴을 마주 대하게 된다.
강을 사랑하신 할아버지의 모험을 떠나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녀를 통해 우리의 삶에는 탄생의 기쁨과 함께 죽음에 대한 두려움, 슬픔이 함께 존재합니다. 이 책은 성인도 아니고 어린이도 아닌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삶과 죽음에 막연한 생각을 행복으로 승화시키는 내용이 담겨져 있고 무든 연령대가 공감할 수 있는 잔잔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