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 1 - 아프리카.중동.중앙아시아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비야 하면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한비야님을 여행가, 월드비젼, 세계 긴급구호단체에서 봉사활동을 한다는 정도로 알고 있다. 이 책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읽으면서 저자 한비야님이 어떤 사람인가을 알 수가 있었다.

저자는 어려서부터 꿈꿔왔던 세계 일주 여행을 위해서 안정된 직장을 생각했던 목표를 위해서 과감하게 사표를 내는 행동은 대단한 용기가 없으면 힘든 일이다 그러나 저자는 미련을 두지 않고 실행을 하였다.  만약에 내가 이런 상항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생각해본다.

저자의 책을 읽으면서 새로운 것을 느꼈다. 바로 독자를 책속으로 끌어 들여 같이 여행하고 있는 것 같이 순간순간 착각이 들 때가 있다. 특히 터키와 중앙 아시아을 여행하면서 도시 도시마다 웅장한 건물이야기 그리고 일반인이 가기 힘든 이곳저곳들 생생하게 이야기가 되어있다. 여기에서 무조건 쉽게 여러 나라를 다닌 것은 아니다. 비자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일, 구소련 지역에서는 자유가 없어서 힘들었던 일, 가면 갈수록 저자가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저자는 이름난 관광지나 유적지, 소문난 곳은 나중에 나이을 먹어서도 모두 볼 수 있다고 하며 체력이 되는 동안 발로하는 여행, 땀 냄새가 물 신나는 여행, 사람들의 살 냄새를 찾아다니는 인간 탐험을 하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아프리카의 오지마다 찾아다니며  원주민 집에서 민박을 하며 풍습과 문화를 체험하고 온몸으로 경험을 하면서 원주민과 어울리는 저자 존경스럽다.

“아프리카의 오지를 다니면서 간단하고 군더더기 없는 삶이 얼마나 아름다운가을 알게 되었다. 아프리카는 내게 최소한의 것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풍요롭고 행복하게 살수 있다는 무소유의 철학을 가르쳐준 거다.”(본문중에서)  지금 우리는 어떻게 하고 살고 있는가? 나부터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것을 가지고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최소한의 것만 가지고 살고 있으면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생각한다. 

“실제로 중요한 것은 남과 비교해서 내가 얼마큼 왔는가가 아니라 내가 지금 확실한 목표을 가지고 힘을 제대로 축척 하면서 알맞은 속도로 가고 있는가라는 소중하고도 고마운 자각을 하게 되었다.” (본문중에서) 나을 생각해보면 그렇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지인이든, 친척이든, 직장동료이든, 이웃이든 먼저 비교가 된다. 이렇게 하면 나에게는 좋지 않은데 말이다. 이제부터라도 남을 의식하지 않고 내가 목표로 하는 것을 서서히 만족시키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읽으면서 시간 가는 줄도 모르게 재미있게 읽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여행자들의 길잡이가 되었고, 여자의 몸으로 남자도 하기 힘든 세계 오지 여행을 실현 시켰다는 것은 우리 모든 이에게 누구나 열정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용기와 희망을 주었다.

좋은 책을 읽을 수 있게 해준 저자 한비야님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