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주의의 기원 1 한길그레이트북스 83
한나 아렌트 지음, 이진우, 박미애 옮김 / 한길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3년 전 세계적으로 보수적 성향의 지도자들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된 지도자들의 성향이 모두다 같지는 않다. 일본의 아베는 제국주의 이념을 강하게 드러내고, 대한민국의 박근혜는 유신체제를 닮아가는 형국, 중국의 시진핑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국제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메르켈은 보수이면서 진보 사회당을 껴 안아 국가의 큰 이익을 위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체제속에 한나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은 국가 기관, 국민들의 사고, 정치의 일방적 행태에서 전체주의 사고는 나타난 다고 한다. 아직 다 읽지는 않았지만, 전체주의 체제가 발생할 수 있는 기본적 사고는 국가가 국민에게 무엇을 해주는가에 달려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현재는 많은 국민들이 정치 등 다양한 정보를 습득함으로 과거와 같은 사고는 하지 않지만 아직도 과거로의 회귀를 원하는 보수아닌 보수들이 난리를치는 시대가 되고 있는 듯하다.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보수, 진보를 떠나 국가관과 역사관을 올바르게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