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의 징비 - 치욕의 역사는 여기서 끝내야 한다
박기현 지음 / 시루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징비는 선조 임금 때에 신하로서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의 절대절명의 위기 상황에서 류성룡이라는 위대한 재상이 이야기를 우리에게 소개해줍니다. 우리는 임진왜란이 전쟁이기 때문에 이순신장군이 눈부신 활약만을 기억하고 조선에 무능한 왕 중에 우위를 가리기 힘든 인조, 선조 중에 선조를 기억합니다. 당연히 최고 공로자와 최고의 고문관인 사람을 기억할 수 밖에요.
그러나 뒤에서 묵묵히 전쟁이라는 참혹한 상황에서 재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구국을 위해 내부적으로 애쓰던 류성룡에 대한 진가는 조명되지 않았습니다.
징비는 최악의 상황에서 최선과 차선을 선택하며, 무능한 임금을 무시하고 포기하는 위정자가 아닌 끝없이 애쓰는 한 인간을 경험하게 합니다. 전쟁을 미리 예견했으나 부패한 당시의 조선의 당파싸움과 무기력한 무인들. 이러한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는 정신으로 선조를 보좌하고 구국을 위해 애쓰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많은 희망적인 상황들을 볼 수 있으며, 절망스럽게도 끝없는 조선을 수복하기 위한 일본이 야욕과 명나라의 조선 분할획책에도 굳건히 선조를 위로하며 나라를 지켜내는 류성룡의 모습은 임진왜란이라는 치욕적 상황을 이겨낸 것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징비의 모습에서 현재의 대한민국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구국의 가장 큰 공을 세운 이순신의 공을 세움으로 모함을 받아 백의종군을 한 것처럼, 류성룡의 전쟁 중에 세운 공은 보상받지 못하는 공이며 오히려 독이 되어 관직에 물러나고 청백리로 삶을 마감합니다.
우연히 들은 말에서 선조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선조가 어린 시절 퇴계이황을 존경하여 스승으로 모셨으나, 이황선생은 나이가 늙어서 자신의 덕이 없어서와 같은 이유로 관직에서 계속 물러나자 선조는 자신을 위해서 다시 관직을 해달라고 청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자 “소신은 나이가 많아 직접 모시기 어려워 화폭에 성군이 되기 위한 방법을 그림과 글로써 적어서 올리니 병풍으로 만들어 평생 소신을 보듯 생각하며 정진하소서”라고 하였답니다. 그 병풍은 성학십도이며, 그것을 보면서 선조가 정진하였는지 기록되지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결과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고 하듯이 역사서에서 선조의 모습을 통해 어떻게 행동하였는지 보여줍니다. 현재의 대한민국에 류성룡과 같은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선조와 같은 임금을 섬기며, 재상으로서 신하된 도리를 지켜가며 외세와 싸우고 명나라를 존중하나 의기 있게 소신을 밝히는 참된 위정자가 나타나기를 소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