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제도와 연극읽기
안치운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연극의 지금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내 현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며, 한국의 관객 중에 하나인 나에게 많은 부끄러움과 반성의 기회를 주었다. 한국 연극의 위기에 대하여 저자는 연출과 배우의 부제 같은 연극 안의 문제 뿐만 아니라 자본의 유입이라는 연극 밖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연극 동네에서 연극 시장으로의 변화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으며 자본의 논리가 활개 칠수록 전문성과 자존심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정적 예로 지금 한국에서의 ‘미국식’ 뮤직컬의 확대로 인해 이어지는 관객을 보다 빠른 속도로 즐겁게 해주는 자본주의 논리의 실현으로써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한 장르로의 뮤직컬의 성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자본의 유혹에 넘어간 연극은 결국 오토그라피의 예술로써 진전한 연극의 부제를 걱정하는 따끔한 충고를 하고 있다. 과연 뮤직컬은 연극을 위해 없어져야 하는 것일까?

이 책 안에서 ‘진지한 연극’ 이 무엇인지는 명확하게 나오고 있지는 않으나 진지한 ‘순간의 제국’ 이며 떠돌이 예술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결국 이것은 피터 브룩이 ‘열린 문’을 쓰기까지 여러 실험을 거쳐 탐구하여 얻은 ‘빈공간’에서 벌어지는 압축된 삶의 진한 강도를 발견할 수 있는 그 무엇과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연극과 함께도, 연극 없이도” 는 사람들이 아직 발견하지 못했거나 가보려 하지 않았던 ; 관객에게 문화적 수준의 작품을 무리하게 이해 시키려 하지 않고 삶이 출현 할 수 있는 빈공간에서 완성된 연극을 할 수 있도록하는 한국 연극은 앞으로 스폰서십 또는 상업성조차 계몽하는 힘을 가진전문성을 바탕에 둔 자존심을 가져야 할 것 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말했던 자본주의 논리의 결과로 만들어진 미국식 뮤직컬은 전체 뮤직컬을 뜻한 다기 보다는 진지함,전문성,자존심을 잃어 버린 연극으로써의 뮤직컬을 뜻하며 ‘미국식’ 이라는 단어가 가진 고민 없이 ‘복제한’ 것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모두 살아있는 연극을 하기 위한 진지한 성찰을 관객,배우,연출자,비평가 등에게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