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생물을 깨워라!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2
서지원.조선학 지음, 박수영 그림, 구본철 감수 / 동아출판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2학년인 앵두도 부담없이 읽는 융합과학 시리즈.

멸종생물을 깨워라는 어떤이야기?

예전에 나 생물시간에 수업시간에 들었던 그런 이야기들이

이 한권에~

공룡과 화석이야기.. 그리고 화석의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까지..

아마.. 중고등학교를 걸쳐 생물, 화학시간에 다루었던 내용들인것 같은데

한권의 스토리로 엮어놓음..

초등 5학년인 미니가 한참 배우고 있는 지층.. 지질관련 부분..

눈에 낮익은 사진들도 나오고..

지층의 쌓인 순서를 보고 시간의 흐름을 알수있다..

지층의 쌓임.

자연의 변화속에서 생물체의 흔적인 화석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지층속에서 발견되는 원래 모형 그대로 발견되는 당시 생물체의 발견도 신기하지만^^

우린.. 또 그 생물체들이 만들어진 시기를 역으로 계산해서..

어느 시대에 그런 생물체가 있었는지를 알수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생물체의 진화나

환경의 변화를 추측해볼수 있다..

그래서 직접 그 시대를 가보진 않았어도

이 시대쯤엔 이런환경이었구나~를 역으로 알아내게됨..

최초 지구 생성에서 부터 바이러스가 만들어지고.

우리의 조상은 바이러스임?

ㅋㅋㅋ

뗄레야 뗄수 없는 우리는 하나.

바이러스 형태에서부터 조금씩 조금씩 복합하고 큰 생물체로 진화를했고

공룡시대를 지나 우리 인류의 조상이 생겨났다..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부분도 함께 나오니.

자연스레 과학공부가 통합으로 되네..

다시 화석으로 돌아와..

방사성원소를 이용한 암석의 나이계산하기..

반감기만알면 암석들의나이를 계산해볼수있으니

이것또한 새로운 배움

이제 길거리 널린 돌들도 그냥 예사로이 보이지 않을거야.^^

그리고 우린.. 직접 이렇게 화석을 만들어보기로함..

찰흙을 바닥에 놓고^^

조개껍데기를 눌러 모양을 찍어줘야하는데..

조개가 없는관계로 우린

다 먹고 폐기할 영양제 뚜껑^^

뚜껑이 글씨와 모양이 패여져 있어

딱 화석만들기에 좋은듯^^

이렇게 모양이 딱 나오도록 꾹 눌렀다 떼어주고 1~2일이 지나면 딱딱하게 그대로 굳어 화석모형이 됨^^


20151102_213211.jpg


​이렇게 우리가 간직하고 싶은 모형들을 찰흙화석만들기로 남겨보는것도 의미가 있을듯하네..

이 화석은 나중에 보면 아~ 이거 내가 이 영양제를 먹었었지.. 라고 추억을 떠올려 주지 않을까??

좀더 이쁜 화석남기기 모형이 아쉽긴하지만

멸종생물을 깨워라 편 덕에 화석의 의미도 이해하고

나름 기념화석도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