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 - 미군정기 윤박 교수 살해 사건에 얽힌 세 명의 여성 용의자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1
한정현 지음 / 현대문학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이 사라지면 너에게로 갈게- 작가님이 미주로 책의 맨 뒤 참고 문헌에 밝혔듯 저건 영화 렛미인의 대사이다. 미군정기가 배경인 소설인데 영화 렛미인의 저 대사가 나오니 무슨 내용일까 더 궁금했다. 평소 좋아하는 작가이기에 더 궁금했지만 선뜻 감이 잡히지 않았다. 다만 우리의 소원은 과학 소년에서 처음 시작에 최유기의 대사를 인용하신 것처럼 이번에도 시대극이지만 어떤 모종의 이유로 현대극의 대사를 인용하신 게 아닐까 생각했다. 저기에 의미가 있을 것 같았는데 뒤로 가면서 그 빛이 너무 강렬해서 모든 걸 태우는 태양을 의미하고 그 태양이 통상적으로 제국주의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반대편에서 숨죽이고 사는 사람들이 바로 달을 상징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정현 작가님은 소설 초반부에는 언제나 조금은 어려운 느낌이 있어서 긴장했는데 이번엔 처음부터 사건이 아예 발생해서인지, 아니면 범인을 알려주면서도 뭔가 그뒤에 숨겨진 이야기가 있을 거 같은 전개여서인지 거기에 몰입하느라 어렵지 않게 느껴졌다. 또 범인은 일찍 미군이라고 밝혀지고 어떻게 세 여성이 용의자가 된 이유가 나오는데 이 중간에 인물들의 개인사가 나와서 일반적인 추리 소설이 아니라 깊이감 있는 개인사 소설처럼 느껴져서 더 흥미롭게 느껴졌다. 배경이나 인물 설정도 흥미를 끌었다. 주인공이 여성 검안의사라는 것도 신기했고 또 개인적인 감상으로는 이든이라는 미군이 절대 호감상은 아니지만 단순한 인물이 아니어서 큰 궁금증을 갖게 해주고 작가님 소설에 남성 캐릭터가 잘 안 나오니까 그 자체로도 신선하게 느껴졌다. 또 그 시대에 경찰이 무전기 논의를 했다는 것도 신기해서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정말 그런 게 있긴 했다. 문제는 사실적인 배경이다보니까 뒤로 갈수록 더 마음이 아팠다. 한국 전쟁이 일어난 후반부엔 비극적인 결말이 예상되서 너무 슬펐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 여기 등장하는 인물들의 사랑 방식으로는 완벽한 해피엔딩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서서가 정말 흥미롭고 전개가 빠르고 인물들이 참 매력이 넘쳤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이 전작보다 좋았다. 그 이유는 요즘 많이 지쳐있는데 연가성이 내 심정과 같은 말을 해서 놀랐기 때문이고 거기에 연가성의 스승님이? 아니라고 이런저런 이유를 말하며 여전히 낙관할 수 있다고 해서 말해주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부분이 정말 위로가 됐기 때문이다. 작가님이 말씀하신대로 작가님의 낙관은 무조건적인 건 아니지만 그래서 더 현실적으로 위로가 되는 것 같다.

또 작가님이 작가의 말에 송화를 제일 좋아한다고 하셨는데 나도 그랬다. 주인공인 연가성이나 권운서 만큼은 안 나오지만 언제나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중간에 술에 취해 자신이 쓴 시를 던지며 우는 장면에서 짠한 마음과 인간미를 느낄 수 있었다. 송화 이야기를 다시 쓰신다고 하셨는데 아직 안 나온 소설이지만 앞으로도 기대를 가지고 한정현 작가님의 책을 구매하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