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 마음을 움직이는 메시지의 창조자들
이남훈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변화와 혁신은 '메시지'에서 시작된다!!!

"시대와 역사의 흐름이 바뀐 순간에는 항상 그들의 '메시지'가 있었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때 위의 말들이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다.

시대마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그들은 어떠한 능력을 갖고 있고 또 보통사람과는 어떻게 달랐기에 '메신저'가 될 수 있었을까?

책을 펼치면 바로 답을 알수 있게 된다. 작가는 이 책을 읽는 독자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주변사람들에게 확산시키고 능동적인

협업을 이끌어 내고 선도적인 입장에서 돌발적인 변수에 대응하고 주변상황을 장악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로 이책이 추구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사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행하는 거의 모든 행위는 메세지의 수신과 발신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메시지를 발신하는냐에 따라 우리의 삶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더 신중을 기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마다  많은 메시지를 전달 받았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수영 남자 100미터 예선에 한 수영선수가 등장, 국적은 적도기니고 아프리카의  아주 작은 나라이다.

그의 이름은 에릭 무삼바니 그가 경기장에 도착했을때 근육도 발달하지 않았고 신장도 작고 수영을 하기에는 안좋은 신체조건을 갖었다. 경기가 시작되자 그의 경기모습을 본 관중들은 웃을을  멈출 수가 없었다. 그는 수영실력이 형편없을 뿐아니라 체력이 떨어지면서 개헤엄으로  겨우 겨우 결승전에 1등 선수보다 1분 4초후 도착하였다. 그때 모든 사람들은 기립박스를 보냈다.

그 게헤엄의 장면은 '시드니 올림픽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으로 뽑힌다. 또 일본 경마계에는 '하루우라라'라는 말이 활동했는데

그 말은 출전할때마다 초미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신드롬에 캐릭터 인형까지 만들어 질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그런데 이말은 몇번이나 우승울  했을까? 113번의 경기중 한번의 우승도 해보지 못했다. 하루우라라는 일반 경주마와 달리 왜소하고 발목이 두껍고 선천적으로 폐활량도 낮은데다 다른말과 경쟁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그런데도 왜 인기가 있었을까? 이는 하루우라라가 장점이 많아서가 아니라 단점과 약점이 많아서이다. 하루우라라가 경기에 나설때마다 사람은은, 이번에 이길 수 있을까?'라는 기대감을 가졌고 팬레터와 응원의 내용은 '딱 한 번이라도 1등을 해 보라'라는 마음이 생격고 대중들 사이에 사랑스러운 존재가 되었다.

에릭 무삼바니나 하루우라라 공통점은 바로 언더독이다. 언더독은 우승이나 이길 활률이 적은 팀이나 선수를 일컫는 말인데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데는 반드시 뛰어난 능력이나 영향력이 아닌 것이다.

이부분이 평범한 내 자신에게 희망이 생기는 것 같고 힘이 나는 것 같아 작가가의 메시지가 더 가슴깊이 새겨졌다.

책속의 많은 이야기들이 나외에도 많은 이에게 같은 메시지를 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