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을 민첩하고 유연하게 바꾸는 애자일 전략
대럴 릭비.사라 엘크.스티브 베레즈 지음, 이영래 옮김, 안희재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ㅣ 애자일 전략이 궁금하다

'이제는 애자일 방식으로 일을 해야 한다'

'제대로 애자일을 이해하고 일을 하는 조직은 많이 없다'

저는 아직까지 일을 하면서 애자일 방식으로 일을 하는 조직에서 일을 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말을 최근에 정말 많이 듣고 있는 거 같습니다.

아마도 스타트업 기업들이 많아진 요즘에는 더 빠르게 상품을 출시하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애자일 조직을 만들고 애자일 방식으로 일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아졌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또한 트랜드가 정말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시대에는 조직을 민첩하고 유연하게 바꿔주는 '애자일 전략'의 필요성을 많은 기업에서 이미 느끼고 있거나, 실행에 옮기려고 준비 중일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사실 저는 이전까지만 하여도 애자일 방식으로 일을 굳이 해야할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춰서 변화하기 위해서, 또 앞으로 내가 애자일 조직을 갖춘 조직에서 일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애자일 전략'이라는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ㅣ 애자일팀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 책을 읽으면서 수박 겉핥기식으로 알고 있었던 애자일팀에 관해서 아주 조금은 겉이 아니라 속에 관해서 알게 된 거 같습니다. 가장 공감하면서 중요하게 읽었던 파트는 애자일은 하나의 방법론이지만, 또한 기업의 철학이고 문화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애자일의 방법론만을 가지고 와서는 기존의 조직에서 가지고 있었던 관료주의적인 사고의 방식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기존의 관료주의적인 사고의 방식을 가지고 애자일 방식을 진행하게 된다면, 결국에는 애자일에 관해서 실패를 맛보게 될 것입니다.

조직의 철학과 문화가 변화하지 않으면서 단순히 방법론만을 가지고 진행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많이 있을거 같습니다. 그렇다면은 그건 애자일이 아니라, 애자일을 무늬만을 입히고 싶은 리더들의 욕심일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기업문화, 리더십, 의사결정 권한, 업무 프로세스, 보상체계 등 진정한 의미의 애자일 기업을 거듭나기 위한 전략적 방법을 세워서 애자일 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포인 트였습니다.

ㅣ 애자일 기업은 리더의 결심이 필요하다!

사실 애자일 기업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은 회사의 임원이 아닌 일개 사원의 노력으로 할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현재 회사에서 있는 중요한 의사결정자가 과감하게 결단을 내리고 조직구조부터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부분 중에 하나가 단순히 기업의 CEO가 애자일 조직으로 개편을 모든 기업의 구성원에게 지시한다고 하였을 때, 반발하는 직원은 하나도 없을까였습니다. 오랜 기간에 한 조직의 문화와 일하는 방식에 익숙해진 구성원들은 분명히 반발이 심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래된 조직보다는 신생의 스타트업들이 애자일 방식으로 일하는 경우가 더 많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한국의 문화적 정서가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애자일 방식으로 일하는데 적합하냐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지금은 많이 없어지고 있다고 느껴지지만, 아직까지도 선후배간의 서열이 심한 조직이 많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이런 조직에서는 기존의 오래된 전통과 같은 문화에서 애자일로의 문화로 바꾸는 얼마나 많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까라는 걱정 아닌 걱정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ㅣ 애자일은 필수일까?

이 책을 완벽히 이해해서 설명할수 있다고 장담할 정도록 읽은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사실 애자일은 꼭 필요한가라는 의문은 마음 한구석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마도 제 주변에서 애자일로 일은 하고 있지만, 책임은 아무도 지지 않는 행태 대해서 많이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 가끔은 강력한 CEO의 리더십에 의해서 회사가 움직이는 것이 더 큰 힘을 내서 움직이고 빠르게 움직이는 대한민국만의 기업 운영방식을 봐 왔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자일 방식은 무시해도 될거 같다도 아닙니다.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좋다가 아니라 조금은 비판적인 사고 속에서 이 책을 봐도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 맹목적인 신뢰로 애자일 방식을 찬양하는 사람이 되지는 말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애자일이 궁금하다면 저는 이 책이 좋은 책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애자일의 A to Z 를 알려주기 위해서 조금은 넓은 범위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애자일의 개념에 관해서 이해하기는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