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수학 1031 초등 4-2 - 2013년용
시매쓰수학연구소 지음 / 시매쓰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교구 선생님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기본 개념만 알고 있으면 좀 더 난이도있는 문제라던가 그 개념을 확장시킨 문제를 만났을 때

응용력을 갖고 풀어나갈 수 있다는 얘기를 하더라구요.

이를테면 작은 수의 계산을 개념에 충실해두면

큰 수 계산도 무리없이 해내는 것 같은 것이죠.

저도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무엇보다도 수학은 스스로 생각해보는 시간이 많아야 한다는 것과

개념을 철저히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2학기 수학를 알아보다가 지금까지 만났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교재를 보게 되어 소개해드리려구요.

정말 이 교재는 스스로 생각해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해나갈 수 있는

제가 찾던 그런 교재라고 생각해요.

씨매쓰출판에서 <생각수학 1031>입니다.

생각하는 힘을 통한 탄탄한 개념 학습이라고 소개되어 있는데요.

다양한 출판사의 여러 교재를 보아왔지만

이 책은 개념을 강조한 책들 중에서 가장 개념에 충실한 교재라고 생각됩니다.

1단원 분수의 덧셈과 뺄셈 부분 위주로 어떤 교재인지 살펴볼게요.

먼저, 생각 열기로 분수의 계산은 어떻게 할지 스스로 궁금증을 가지게 만듭니다.

다른 교재들은 생각 열기라는 부분까지도 분수의 계산방법을 설명해놓았더군요.

하지만 이 책은 흔히 저지를 수 있는 실수를 바탕으로 왜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것이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했답니다.

생활 속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수학 문제라 스토리텔링 수학이 들어가 있구요.

그림으로 분수의 계산을 이해하기 쉽게 해주어서 쏙쏙 들어옵니다.

분수의 덧셈에 관한 탐구활동이에요.

앞에서 의문시했던 내용과 유사 문제에 관한 것인데요.

스스로 의문을 가졌던 내용을 어떻게 해야 한다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분수를 직접 그림으로 나타내 보고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면서

스스로 알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더군요.

이 부분은 생각 정리하기입니다.

앞 부분에서 의문을 가졌던 문제에 대해 무엇이 틀렸는지 이유를 말하고 바로 계산해보는 활동을 넣었어요.

자신이 개념을 철저히 이해했는지는 이런 활동을 통해서 서술해보는 것이지요.

안다고 생각하는 것도 써보면서 부족한 부분을 알 수 있고 더 확실히 개념을 다질 수 있으니까요.

유형탐구 부분은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풀수 있도록 했는데요.

개념만 있으면 이런 유형 문제는 쉽게 할 수 있어요.

그렇기때문에 개념 이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이런 유사문제가 타 교재보다 많지 않은 것도 좋더군요.

문제를 많이 푸는 것보다 정확한 개념으로 틀리지 않게 푸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 같아요.

서술형 문제 부분이에요.

충분히 쓸 공간을 네모 모양 칸으로 마련해주고 화살표로 과정을 나타내주니까

마음가짐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문제 풀이를 좀 더 논리적으로 깔끔하게 정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좀 더 난이도있는 문제도 실려있어서 응용력과 사고력 등 실력 키우기에도 좋겠더군요.

이렇게 확실히 개념을 잡고 유형, 서술형, 문제 해결까지 풀면

단원평가로 마무리할 수 있게 해주었어요.

이 부분은 정답지 일부입니다.

해답지로 그림까지 동원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돼 있고

서술형 문제도 다른 교재는 계산하는 과정만으로 서술형 문제의 답을 기술해주는데

여기는 방법 설명하기가 더 있네요.

 

이렇게 생각수학 1031을 알아보았는데요.

정말 마음에 드는 것이 생각열기를 통해 스스로 의문점과 궁금증을 가질 수 있게 했고

탐구활동을 통해서 스스로 개념을 알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이랍니다.

다른 교재들도 개념을 강조한다지만 개념을 알려줄 뿐이지

왜 그래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는 과정이 부족한데

이 교재는 스스로 알아낼 수 있도록 충분한 탐구과정을 거칠 수 있게 해줘서 좋아요.

수학은 스스로 생각해보는 힘이 꼭 필요한 과목이고

나중에는 이런 힘이 큰 밑거름이 되니까요.

시매쓰 출판 생각수학 1031 강력추천하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