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 존 가트맨.최성애 박사의
존 가트맨.최성애.조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ebs 프로그램에서 정서 지능의 놀라운 잠재력에 대한 다큐를 방영한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정서 지능이 높은 아이들은 집중력, 도전의식, 인내심이 강하고 또 성공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이 정서 지능에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바로 책으로도 출간되었더라구요.

우리 아이는 꽤 예민한 편이랍니다.

같은 이야기라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유난히 예민하게 받아들여 자기 자신을 안 좋게 얘기하는 것은 아닌지 따지게 되고

저 말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건 아닌지 심각하게 고민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아이가 있지요.

후자의 아이가 우리 큰 애의 모습인데요.

책을 읽다보니까 이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무시당하고 인정받지 못해

한 마디로 감정 코칭을 받지 못 해 자기자존감이 낮기때문에 그렇다고 하더라구요.

기질 탓을 했던 제가 한심하게 느껴지기까지 했는데요.

저도 참 예민하고 생각, 고민거리가 많은 아이였는데 나를 닮았구나 생각만 했지,

아이의 감정을 보듬어 주지 못해서라곤 생각을 못했거든요.

감정을 무시당하면 어린 아이들이 자해같은 파괴적인 행동까지 한다니,

그래서 정신병원까지 갈 뻔한 아이의 이야기를 읽으면서는 눈물까지 나더라구요.

정말 무섭기도 하고 아이들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려 노력해야 겠단 다짐을 하고 또 했어요.

감정 코칭을 읽다보니, 감정코칭하는 방법이 우리 큰 애가 아기였을 때 우연히 빌려보았던 책에서 본 얘기와 비슷하더라구요.

그래서 당시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려고 노력했었는데, 그때는 정말 아기가 아기답지 않고 어른스러웠는데요.

아마도 감정코칭의 덕을 본  때인 것 같아요.

그런데 둘째를 낳고 힘들게 아이 키우다보니 그런 것을 놓치고 살고 있더라구요.

이런 책을 곁에 두고 잊을만하면 찾아보고 다시 실천하고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답니다.

그리고 감정 코칭을 잘 하려면 자기 감정에 솔직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화가 나거나 슬프거나 기분 나쁜 일이 있을 때

에전에는 그냥 혼자 얼굴이 굳어진 채 있어서 아이들이 눈치를 보게 만들기도 했는데요.

이젠 아이들에게도 무엇때문에 화 났어 이런 식으로 솔직하게 이야기를 해 혹시나 자기들 때문에 화가 났나 하는

오해를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답니다.

어떤 것을 습관화하려면 평균 21일은 걸린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지금도 매일매일 감정 코칭을 염두해 두고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공감해주려고 애쓰고 있는데요.

정말 효과가 좋긴 하더라구요, 하지만 간혹 욱~ 하고 올라오는 성격때문에 아이를 울리기도 하는데

더 많은 수련이 필요할 것 같아요.

아이의마음을 읽어주고 공감할 때는 mirroring이 효과적이라고 해요.

그러니까 아이의 말을 그대로 전달해주면서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이죠.

아이의 마음의 문을 여는 대화도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애기해주는데

인상적인 것은 왜? 라는 질문도 아이의 마음을 닫게 하는 것이라고 하더라구요.

왜 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은 전두엽이 하는 일인데 27-28세에나 완성된다고 하더라구요.

아이들 아빠가 항상 왜 우니? 뭐 이런 식으로 왜 라는 답을 얻어내고자 아이를 힘들게 할 때가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아이는 답을 못 하고.. 그런 게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죠.

그리고 그런 아이아빠를 노골적으로 아이들 앞에서 미워하기도 했는데요.

부부 사이의 관계가 좋아야 아이들이 행복하고 정서지능도 높다고 해서 또 반성해보았구요.

참, 3가지 기질 이야기도 있는데요.

대기만성형 아이들은 말과 행동이 다소 느리다고 하더라구요.

우리 큰 애가 그렇기에 항상 잔소리를 많이 하게되는데 아이를 좀 더 느긋하게  바라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아이의 마음을 여는 대화법, 칭찬 꾸중 제대로 하기 유익한 정보 많구요.

나이대별로 아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방법도 구체적으로 나와 있고

감정 코칭 단계 및 실천 사례도 아주 구체적으로 실려 있어서 한번쯤 겪었던 일들이라 응용하기도 편하더라구요.

감정 코칭,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기에 우리 아이의 감정코칭을 놓친 시간들이 너무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감정 코칭, 행복한 아이들을  반드시 읽어보고 습관을 들여야 할 육아방법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