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2020 하류노인이 온다 - 노후 절벽에 매달린 대한민국의 미래
후지타 다카노리 지음, 홍성민 옮김, 전영수 감수 / 청림출판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OECD 노인빈곤율 1위 국가 한국의 현실을 보다 깊게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다.

은퇴전 나름 사회적으로 무난하게 살았던 사람도 은퇴후에 예기치 않은 가정내의 불행으로 인하여

언제든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현실을 우리보다 경제력이 앞선 일본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리의 현실이 하나라도 일본보다 나은것이 있을까?

일본이 느끼는 우려와 우리가 느끼는 우려는 인식과 판단에서부터 적지않은 차이를 보이며

대책에서는 더욱 큰 차이가 난다. 현재도 50%가 넘는 한국사회의 노인 빈곤은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되는 사회적 불행이다. 이미 양극화가 심화된 사회에서 직업과 소득의 불안은 미래까지 대비하며 산다는 것은 꿈같은 얘기다. 

몇몇 사람의 문제라면 사회적 문제라고 얘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무시할 수 없는 숫자의

사람들이 갖고있는 문제라면 우리는 이것을 사회적 문제라고 한다.

사회적 문제는 국가가 나서서 적극 개입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경제적 자유를 잃어버리면

문화적, 정치적 자유는 생각도 못하며 세상을 살게된다. 기득권들은 계급을 창출하기 위해서도

이런 사회를 원할 수 있겠으나 정상적인 이성을 갖고있는 인간이라면 나눔과 배려는 인간이

가져야 할 기본 덕목중에 하나라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지구와 인류의 역사에서 개인의 일생은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그저 평범하게 살다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자의 연구대상이 아닐것이다. 난 인지혁명도 농업혁명도 과학혁명도 상관없이 세상을

살았고 지금도 그 어떤 혁명에도 상관하지 못하고 세상을 살고있다. 이런 내가 역사의 한 페이지

아니 그 페이지의 점하나의 역할은 하는 것일까? 아마 아닐것이다. 그저 이런 책이나 볼 수 밖에

없다.

 

"인간은 새로운 힘을 얻는 데는 극단적으로 유능하지만 이 힘을 큰 행복으로 전환하는 데는 매우

미숙하다. 우리가 전보다 더 큰 힘을 지녔는데도 더 행복해지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자인 유발 하라리가 예측하는 사피엔스의 미래는 이 말에 있다고 생각한다. 행복하지도 않으면서 끊임없이 힘을 갖고자 하는 사피엔스의 무한한 욕망은 결국에는 스스로를 신으로 업그레이드 하려 한다. 그리고선 무언가를 창조하려는 욕망에 순응할 것이다.

인류의 미래가 장밋빛일지 회색빛일지 가늠하긴 어렵다. 저자도 인지혁명의 과정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개인의 일생도 예측이 쉽지 않은데 인류의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 그러나 과거를 알고 현재를 제대로 인식한다면 전혀 불가능한 문제도 아닐것이고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면 개선과 대비도 함께 세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그 누구라도 읽어 볼 가치가 있다.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월호, 그날의 기록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 지음 / 진실의힘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고(?)로 시작해 무능력한 공권력에 의해 참사로 변한 그날의 진도 앞바다. 돈과 이윤이 생명보다 우선시되고, 그저그런 정부와 기관들이 보여준 어이없음, 왜곡과 오보의 언론들. 지금도 진상규명을 방해하고 있는 수구특권층의 작태를 제대로 남겨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바이어던 -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중단하라 서해클래식 15
토마스 홉스 지음, 신재일 옮김 / 서해문집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국가는 소수특권층이 지배한다. 일반민중은 그들의 지배를 그저 관성에 따라 인정하고 때때로 선거에서 심판한다고 착각하며 세상을 사는건 아닐까? 꽤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 `자유로운 백성`이란 말이 무의미하고 어리석게 느껴지는 사회에서 달라진건 또 뭔지..... 헷갈리고 당혹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민을 위한 선거는 없다
다비트 판 레이브라우크 지음, 양영란 옮김 / 갈라파고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주의는 어쩌면 자본주의적 재생산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보장해주는 `부르주아` 국가의 국가기구의 일부가 되어버린것이 아닐까?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제도를 과연 그럴까? 하고 생각해본다는것은 매우 중요한 발전의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