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눕 - 상대를 꿰뚫어보는 힘
샘 고슬링 지음, 김선아 옮김, 황상민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5월
평점 :
이 책을 읽기 전에, 혹은 읽고 난 후라도 "성격의 탄생"이라는 책을 꼭 읽어보길 바란다.
그리고 나서 이 책 "스눕"에서 제시하는 자가성격진단도구를 스스로에게 적용해 본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의 신뢰성에 의문이 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이 나쁘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저 사고의 차원이 위 책보다 낮다는 얘기다.
같은 Big5모델을 두고 이렇게 수준차이가 난다면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다.
웬만하면 서평을 좋게 쓰려고 노력하는데,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책은
성의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저 차원이 좀 낮다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완독하기도 무척 힘들었나보다.
이에 비해 "성격의 탄생"이라는 책은 같은 논의를 정신의학적, 진화론적 근거를 들면서
무척 단순심오하게 풀어낸다는 점에, 그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적용하기 쉽다는 점에
개인적으로 큰 점수를 주었었다.
부연하건데 "스눕"은 겉보기완 달리 의외로 적용이 어렵다. 왜냐하면 이 책이 제시하는 진단도구 자체가
신뢰가 안가기 때문이다. 이 책의 진단도구로 여러분 스스로를 평가하면 아마 다들 고개를
갸우뚱할 것 같다. 그 이유는...... 사람은 스스로의 성격을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차라리
스스로를 누군가가 옆에서 보고 평가해주는 것이 훨씬 정확할 때가 많은데 "성격의 탄생"은
누군가가 옆에서 보았을 때의 자신의 모습을 묘사하게끔 진단도구를 만들었기에 진단결과에 쉽게
수긍이 갔던 것이다. 이해가 가는가? "스눕"에서 제시하는 진단도구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그 진단도구를 토대로 만드는 논의도 부실해지기 쉬울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
저자가 말하는 "행동양식의 잔유물"은....... 탐색이 아닌 진단도구에 먼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스눕"은 "셩격의 탄생"을 읽고 나서 흥미거리로 읽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지 단독
으로 읽었다간 머리만 더 혼란해 질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별3개를 부여한 이유는....... 책의 메세지 자체는 무척 훌륭하기 때문이다.
겉보기와 다른 인간내면을 어떻게 탐구할까 하는 방법론에서 부터 그 탐구의 결과까지
전혀 고리타분한 부분이 안보인다. 인간분석의 실용적 방법론을 체계화시켰다는 점에서
만큼은 무척 좋은 책으로 평가하고 싶다. 또한 인간이 인간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좋은 계몽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보문고 MD들이 강력 추천했다고 해서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독후감을 올리니
독자 여러분들이 알아서 잘 판단하시도록.
이렇게 얘기하면 "성격의 탄생"을 홍보하려고 쓴 글로 비칠 것 같아 한 마디 하고자 한다.
개인적으로 "성격의 발견"이 훨씬 잘 된 책이다. 이 책이 뜸으로 해서 잘 써진 옛날 책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는 것 같아 안타까울 뿐이다. 실제로 내 기억에도 "성격의 탄생"은 홍보
나 마케팅에서는 "스눕"에 훨씬 못미쳤었다. 굳이 답글을 쓰고자 하는 분이 있다면
그 책을 꼭 읽어 보고 이 독후감에 비평이던 불만이던 답글을 써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