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반도체 지정학 - 21세기 지정학 리스크 속 어떻게 반도체 초강국이 될 것인가
오타 야스히코 지음, 임재덕 옮김, 강유종 감수 / 성안당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 업종인 반도체 산업. 앞으로도 반도체 산업은 꾸준히 성장 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유는 모든 제품에 반도체가 더욱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모든 가전제품과 최근에는 자동차까지 반도체를 끌어들이는 블랙홀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반도체 시장의 미래가 밝기에 글로벌 패권국인 미국은 10여년전부터 반도체 산업 성장에 기업의 역량을 넘어 국가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자국 반도체 산업 강화와 미국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 장악이 대립되어 불안하게 유지되어온 자유무역협정과 국제무역기구의 권고 등이 무시되고 두 나라가 충돌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 일본, 대만 등의 반도체 산업 주요 국가와의 동맹 또는 협정을 통해서 치킨게임에 돌입한 느낌 또한 든다. 이러한 반도체 글로벌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책 ‘반도체 지정학’은 각 국가별 그리고 대륙별로 ‘반도체 산업’의 위치 현황 파악 그리고 미래 준비에 대해서 잘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중점적으로 보게 되는 사항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준비이다. 결국 반도체 산업이 중심이 되지 않으면 향후 미래 산업에서 그리고 국가간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두 나라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포지션을 취해야 하는가? 20세기 자유무역을 하자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21세기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오히려 보호무역주의로 가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들은 자국 산업 중심으로 재편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또한 자국 산업 정책으로 산업군을 재편하고 있다. 본 책에서 각 국의 반도체 현황과 향후 전략을 본다면 우리나라 또한 반도체 산업 육성에 더욱 강화를 해야 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이번 정부 들어서 반도체 산업의 인력 육성에 지원을 하고자 하며 또한 최근 삼성전자의 이재용부회장의 석방 등으로 대한민국이 다시 한번 반도체 강국으로 거듭나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