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 - 원하는 것을 매 순간 성취해내는 힘
임춘성 지음 / 쌤앤파커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역량’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곤 한다. 역량의 사전적 의미는 해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역량’을 키워라 라는 말을 자주 듣곤 한다. 결국 ‘역량’을 키우라는 말은 해낼 수 있는 능력을 키워라 라는 말을 의미한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을 잘 알지 못한다. ‘역량’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또 알려주는 것도 마땅치 않다. 그렇게 그냥 ‘역량’을 올려야 하는 책임감만 가지고 있는 것이다.


책 ‘역량’은 ‘역량’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역량’에 영향을 주는 각 목표점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크게 9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 역량 모두 관심이 가지만 그 중에서 3가지가 더욱 내가 역량을 키우는데 필요한 것이라 생각이 든다.


첫째는 ‘분류’이다. 저자는 산업공학과 출신 답게 ‘역량’이라는 어쪄면 인문학적 단어를 산업적 단어 즉 공학적 단어로 바꾸어 설명한다. 특히 ‘분류’라는 단어로 표현되는 내가 처한 상황에서 여러가지의 문제와 갈등 그리고 목표 등의 것들에 대해서 분류가 왜 중요한 지에 대해서 설명되며 분류를 어떠한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해 놓았다. 


둘째는 수용이다. 어쩌면 삶을 살아가면서 힘든 부분으로 나와 상대적인 것을 이해한다는 것이 매우 힘들다. 하지만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으로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단계를 넘어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어떤 대상에 대해서 상대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 위인에 있어서도 상대적인 평가를 하게 되며 단순히 우리 주변의 인물만 보더라도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나 또한 어느 부류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지만 또 다른 부류에게는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다양성을 받아 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 결국 나의 ‘역량’을 쌓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규정이다. 모든 것에는 룰이 있다. 그 룰속에서 내가 속한 집단의 한 사람으로 살아가는가? 아니면 그 룰을 만드는 사람이 되는가? 라는 부분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즉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룰을 따르는 사람이 아닌 룰을 만들어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특히 기업과 조직내에 있는 사람에게는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그 규정을 정하고 규정을 조직원들이 지키게 하는 것이 그 조직을 더욱 성장시키는 막중한 업무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역량’을 키워야겠다고 다짐한 사람이라면 본 책을 통해서 자신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