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6월민주항쟁 천천히 읽는 책 64
오진원 지음 / 현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월민주항쟁에 대한 책입니다. 아이들한테 설명해주기 어렵기도 한데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책이 나와주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간첩혐의자를 취조한다던 남영동 대공분실은 민주화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몰래 잡아다 고문으로 취조하는 곳이었습니다. 민주화운동은 간첩혐의자처럼 국가를 위태롭게 한다는 이유로 말이지요. 5층 창문이 비밀을 알고나니 고문당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피의자도 아니고 참고인이었던 박종철은 물고문으로 죽습니다. 세상에 조용하게 묻혀질 수도 있었겠지만 용감한 의사 덕분에 보도할 수 있었어요. 인터넷이 없어 기사 댓글을 쓸 수 없었던 그 시절에는 종이신문을 읽고 신문사로 전화해서 자신의 의견을 밝혔고 그게 여론이었다는 것이 요즘 아이들에게는 신기하게 여겨질 것 같았습니다.

명동성당에서 하려던 '고 박종철 군 국민추도회'는 정부 원천 봉쇄로 제대로 열리지 못했지만 추모모임과 시위는 곳곳에서 일어납니다. 이렇게 박종철의 죽음은 1987년 6월민주항쟁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이한열의 죽음은 도화선이 되어 민주항쟁은 시작됩니다. 책을 읽다보니 1987년 하교할때 최루탄가스때문에 눈이 매워 근처 친구네 집에 머물다가 잠잠해지면 집에 가야했던 초등학교 시절이 생각이 나네요.

사람들은 억압받던 시기에도 무서워하지 않고 정부에 분노를 표출하고 국민의 뜻을 보여주었습니다. 요즘은 촛불집회라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힘을 모으고 표현하지요.

헌법재판소 이야기도 나옵니다. 위헌 여부를 심판하는 것 외에도 더 있다는 것은 얼마전 헌법재판소 견학을 다녀와서 알고 있었습니다. 탄핵된 대통령이 2명이었다고 알려줍니다.6월 민주항쟁에서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지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자는 헌법에도 관심을 가지자고 얘기하고 있네요.

책을 다 읽고 나니 뒷부분 부록이 있어 한번더 읽어보며 내용을 정리합니다. 민주항쟁이 있었기에 민주주의로 더 나아간 사회에 우리가 조금 더 편히 살고 있음을 느낍니다.


민주주의란 완성형이 아니라 진행형이라는 것. 우리는 6월민주항쟁의 정신으로 계속 민주주의를 외쳐야한다는 작가의 이야기를 잘 새겨들어야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