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고학년은 한 번뿐입니다 - 급변하는 초4∼초6,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나카네 가쓰아키 지음, 황미숙 옮김 / 물주는아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학년을 문턱에 둔 아이와 고학년을 키우면서 이 책을 읽으니 한 아이를 통해 이미 경험한 것도 있고, 다른 아이가 앞으로 성장하게 될 과정을 미리 읽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하고자 하는 말을 군더더기 없이 설명하며 가독성있게 배치한 것도 아주 좋았답니다.


 

저자의 생각이 저랑 많이 닮아있어서 읽기가 편했고, 받아들이기도 편했습니다.

"멀리까지 보고 생각하면 지금 문제라고 여겨지는 대부분의 일들은 괜찮은 것들이다. "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 갈등이 여러번 있었고 그 시기가 지나고 나서 느낀 건 역시 인생에서 그렇게까지 고민할 것은 아니었다는 것. 그래서 이후에도 고민거리가 생기면 한 걸음 뒤에서 보자. 멀리 보자, 길게 보자. 편히 생각하고 있답니다.

"중3까지는 부모가 공부를 봐주자."

공부를 제가 봐주다 보니 아이의 수준도 파악하고 아이의 생각도, 마음도 읽을 수 있으며 아이를 잘 알게 되니 진로에 대해서도 미리 생각해보고 여유롭게 되는 장점이 있네요.


 

"집에서 일을 얼마나 해보았는가"

이것도 정말 공감합니다. 어릴 때는 부모님이 시키는 집안 일들이 재미있어서 했고, 할 줄 알아서 도와드렸던 것인데 독립하고보니 기본적으로 할 줄 아는게 많은 것이 편했거든요. 저의 그 경험이 있기에 아이들에게도 종종 시키고 있어요.


 

"문화를 중심으로 한 질적 경제 시대의 자본은 시간이다. 들인 시간이 개성이라는 자본이 된다."

이 구절이 가장 좋았습니다. 공부보다는 이것저것 많이 경험시키고 있어요. 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도 자주 가서 아주 즐거운 곳이며, 스포츠도 다양하게 경험하는 아이들에게 이런 경험들이 양분이 되어 아이들의 인생에 행복한 과거였고 즐거운 현재이며 뭐든 도전할 수 있는 힘을 가진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길 바라는데 필요한 건 시간이더라구요.


 

저자의 생각이랑 비슷하다보니 제가 생각지 않은 부분을 적은 부분에서는 경험이 더 많았을거라 생각하며 믿게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좀더 쉽게 적용하고 저도 적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모든 가족 구성원들에게 안정감을 주니까요.

"남들을 기쁘게 하면 돈이 불어난다는 생각을 어린 시절부터 길러 주는 것이 좋다."

경제 교육에 대한 의견이 좋았습니다. 이런 생각이면 돈 버는 과정도 재미있고 돈 쓰는 과정도 재미있게 느끼며 잘 벌고 잘 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보상으로 용돈을 줄 필요는 없다."

용돈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안나서 어떻게 할까 고민만 하고 있었고 요즘은 밖에 나갈 일도 없으니 용돈줄 계획조차도 무기한 연기 중이었는데 이 책을 통해 용돈에 대한 생각을 또 다시 해보게 됩니다. 기본 용돈을 적게 주고 집안일로 벌게 만들어야하는가 생각하다가도 집안일은 당연히 해야하는 것 아닌가 했는데 이 책에서도 그건 보상할 필요가 없다고 하니 좀 더 생각해봐야겠어요.


 

"자녀의 책임에 대해 종종 이야기하면서 육아하는 것이 좋다."

요즘 사회에 이 부분도 참 중요할 것 같은데 이 책을 통해 놓친 부분을 찾은 것 같아요. 사회는 점점 더 빨리 변하고 그 사회에 적응하는데 급급하다보니 자녀의 책임에 대해 미리 가르쳐두지 않으면 나중에는 깨닫기 힘들 듯합니다. 자연스럽게 익혀주는 것만큼 서로에게 좋은 건 없으니 잘 실천해보려 합니다.


 

이 책은 고학년 학업을 어떻게 이끌어갈지 하는 얘기도 있지만 그 보다 더 좋았던 것은 고학년이 어떻게 자라야 잘 자란 어른이 되는지 알려주는 책이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온 가족이 해야할 일도 조언해주어서 도움이 많이 되는 책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 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