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여행가방 - 박완서 기행산문집
박완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2월
평점 :
긴 인생을 살다보면 그런 때가 있다.
내가 하고 있는 모든 일이 지루하고 성가시게 여겨지기만 하는 시기.
손에 움켜쥐고 있는 집념들을 견딜 수 없이 놓아버리고만 싶은 때.
정신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게 너무 지쳐서 이제 그만 털썩 주저 앉고 싶은 그런 시점.
이루 말로 다 표현 못할만큼 갑갑하게 꽉 막힌 그 지점에 이르면 우리는 누구나 그것을
해소할 도구나 비상구를 찾아나서기 마련이다. 그 때 많은 이들이 택하는 것이 다름아닌
여행이 아닐까. 일찍이 생떽쥐베리는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란 책을 쓰지 않았던가?
아닌게 아니라 모든 여행은 어떤 형태로 든지 '나를 찾아 떠난다' 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게
아닐까 싶다. 그것을 떠나는 당사자가 의도하든 하지않든 결국은 그렇게 되고야 만다는 것은
지나친 억측일까.
나는 박완서의 여행기 '잃어버린 여행 가방'을 통해 그 점을 깨달았다.
그녀가 사전에 정확히 계획을 하고 간 여행이든, 무작정 떠난 여행이든, 피곤한 몸에도
불구하고 마지못해 따라나서게 된 여행이든지, 어떤 형태의 여행에서든 다양한 방식으로
그녀는 그녀 자신을 발견해 가고 있다는 것을. 나는 그녀의 여행기를 읽으며 그녀의
편린을 한 조각씩 주워 모으고 있었다. 낮선 땅을 여행하며 그곳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것을 경험해 나가는 여정을 통해 그녀는 말못한 그리움을 , 인간에의 연민을
느끼기도 하며, 자신의 편협한 시야를 넓히고 새 삶에의 희망을 발견하기도 한다.
더욱이 그녀가 거쳤던 여행지는 화려하고 현대적인 문명의 도시가 아닌
아직 때묻지 않은 고유 문화를 지켜나가고 있고 자연이 살아 숨쉬는 땅이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주변 경관의 현란함에 기죽거나 도취되지 않는, 나 자신과 사람만을 가장
진실되게 느껴 볼 수 있는 곳. 그곳에서 그녀는 타인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바라보고
성찰하며 각기 다른 삶의 모습 속에서도 우리 삶의 원형을 발견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여행은 본인 마음의 역량을 넓인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내가 미처 몰랐던 나 자신을 찾기위해 흩어져 있는 내 작은 편린들을 주워 모으는 일.
그 조각 조각이 비록 빈틈없이 맞추어져 내 전체를 이루어내는 것이 아닐지라도
한 두 조각 일상에서 찾을 수 없는 퍼즐을 길고 짧은 여정을 통해 찾아 나서는 것.
인생이라는 험난한 여로에 놓여진 우리 모두는 그렇게 낯선 땅 어느메 쯤에선가 나자신과
문득 대면하거나 때로는 잃어버린 여행 가방처럼 행로를 찾지 못해 안절 부절 못하면서도
결국에는 그것을 통해 삶에의 성숙을 일구고 필경에는 그 여로의 끄트머리에 와서야
노을 질 무렵 목적지에 짐을 푸는 것과 같은 안도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아, 삶이 고단해도 쉽게 그만두지 못하는 것은 목적지에 도달하고픈 여행자의 마음
그것과 같은 것이 아닐런지, 그리고 작가의 말처럼 목적지에 다다라서는 내 삶의 크기만한
여행가방 안에서 내 살아온 모든것을 신 앞에 꺼내놓아야 하는 것이 아닌지.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과업은 그안에서 숨길 수 없이 드러날 내 영혼의 편린들을,
아, 그것들을, 그 무게를 정직하게 달아보아야 할 일이 아닐런지 하는 생각들을
나는 그녀의 책을 읽으며 끊임없이 반추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