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투스 - 인간의 품격을 결정하는 7가지 자본
도리스 메르틴 지음, 배명자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아비투스란, 인간의 계층을 구분 짓는 계층 간의 여러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요소는 돈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돈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인간의 성품과 문화 습관 또한 크게 작용하며 여러 요소들을 잘 활용해야 위의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앞서말한 여러가지 특성을 ‘자본’이라는 개념으로 순서대로 설명하는데, 심리, 문화, 지식, 경제, 신체, 언어, 사회자본으로 나뉜다.

표지

책을 읽으면서 내가 저자가 말하는 모습과 얼마나 닮았는지 생각해보게 한다. 돈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다르게 돈은 그저 우리가 먹고 살 수 있는 능력만큼만 있으면 괜찮은 것 같다고 보인다. 생활의 안락함을 위해서 돈이 필요함을 말하는데, 이 부분에서 동의한다. 집은 넓으면 넓을수록 좋고, 돈도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지만, 이미 내가 먹고 잘 충분한 능력이 있다면 돈만 바라보며 사는 삶이 의미가 있나 항상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는 잘 설명한 것 같다. 물론 그렇다고 최고 부자들은 도전을 멈추지 않고 더 큰 성공을 통해 부를 획득하지만 그것이 오직 부를 위해 한 행동이 아니었기에 더욱 큰 성공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것 같다.

결정적으로 최고 계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절대적인 요소는 열린 관심사, 올바른 품성, 올바른 사회적 관계 형성이다. 자신이 현재 처한 위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부터 시작이라고 나온다. 어떻게든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자신의 멘토나, 득이 되는 관계를 형성하다 보면 언젠가는 계층 이동에 성공한 삶이라는 것이다.

목차

나는 이 책의 초반 부분을 읽을 때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읽었다. 계층이라는 단어로 세계적 영화를 만든 기생충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무조건 최상위 계층으로 이동해야 삶이 의미 있는가? 상류층들이 형성 할 만한 마인드셋을 하류층이 갑자기 사고하게 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이상론적이고 힘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애초에 돈이 심리적 안정감을 줄만큼 충분한 자본이 있는 사람에게는 조금이라도 남을 돕기 쉬운 위치에 있는 것 아닐까? 하류층은 자신에게 상속된 자본도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하루하루 돈을 벌어가면서 생활을 유지해야한다. 그런 상황에서 돈을 심리적 안정에서 오는데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대학의 졸업장은 중요해서 등록금을 내고 다녀야 하고, 상류층들의 품위있는 모습을 닮기 위해 배려하고 열린 관점에서 사고해야 한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는 실용적인 느낌으로 다가오진 않았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자신이 상류층과 같은 품격으로 살아가면서 행복의 척도를 상류층과 같은 관점으로 바꾸고 행동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 같다. 또한 이런 사고로 행동하고 노력하다 보면 자신에게도 걸맞는 관계가 형성되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저자는 이 책을 쓴 것 같다. 책 앞부분에서는 it기업 팀장을 보고 누군가는 그를 하류층으로 볼 수 있겠지만, 누군가는 그를 중산층, 상류층으로 볼 수 있다는 것에서 영감을 얻었다. 계층을 나누는 것은 돈으로만 결정 되는 것이 아니므로 개개인마다 계층을 구분 짓는 기준이 다르다. 그러므로 자신이 생각했을 때 이 책을 읽고 자신이 생각하는 계층의 범위를 구분 짓고 최상위계층으로 올라가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하고 노력하면서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계획하는 것 같다. 벼락부자가 되는 것 보다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알려주었던 책이었다. 품격 있는 삶의 기준을 정하고 어떻게 그런 삶을 살아야 할지 고민해보자.

이 리뷰는 다산북스의 지원을 받아 쓰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