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소설을 읽을 때는 첫 문장과 끝 문장이 무엇인지 유심히 새겨보는 습관이 있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로 시작하여, “정신없이 울부짖는 고마코에게 다가가려다, 시마무라는 고마코로부터 요코를 받아 안으려는 사내들에 떼밀려 휘청거렸다. 발에 힘을 주며 올려다본 순간, 쏴아 하고 은하수가 시마무라 안으로 흘러드는 듯 했다.” 로 끝이 난다. 작가 가와바타는 우리에게 머릿속으로 자신이 바라보고 있는 시선을 따라오도록 유도하며, 자신의 시선 안에 비춰지고 있는 모습을 끊임없이 상상하도록 만든다. 칠흑 같은 어둡지만 쌓여있는 눈 더미에 비쳐진 달빛으로 은은하게 빛나고 있는 새벽녘을 얼마나 우리에게 보여주고 싶었겠으며, 그 시선을 하늘로 이끌어서 보여주는 은하수는 또 얼마나 자신의 가슴을 저미는 아름다움이었을까? 가와바타가 그렇게 보여주고 싶었던 그의 시선을 조금이라도 느껴보고자 한국인에게 유명한 유미가 출연한 ‘신 설국’이라는 영화를 봤다. 눈으로 뒤 덮인 공간을, 작가의 표현을 잠시 빌려 작은 방울 소리를 온 몸으로 안고 들어오는 기차의 만남은 자연과 기계문화가 만들어낸 최고의 아름다운 조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야기를 풀어가면서 작가는 그 시선을 자신의 눈앞에 펼쳐진 공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와무라, 고마코의 두 가슴속으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그저 차가운 가슴으로 고마코를 대하지만 고마코의 진실 된 뜨거운 마음으로 조금씩 자기에게 당면한 현실에 때론 고민을 하기도, 그 마음에 자신의 마음을 더하기도 하는 시마무라의 내면. 한 남자의 약혼녀지이지만 새 애인이 있는 남자를 위해서 게이샤가 되어 그들을 부양하면서도 그 현실을 피하려하지 않고 온 몸으로 받아들이며, 그 순간 자신의 마음에 들어온 사랑에 최선을 다하는 고마코라는 한 여인의 내면. 우린 그들의 가슴이 만들어 내는 이야기를 통해서 일본의 서정문학의 대표작이자 시작점이 된 작품을 느낄 수 있다. 문득 눈이라는 것이 처음엔 차갑지만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은 알 수 있듯이 눈에 구덩이를 파고 들어가 누워있으면 나중에 오히려 주위 공기층을 형성해서 안은 따뜻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국이라는 배경을 통해서 차갑기만 했던 두 주인공의 마음이 서로를 통해서 조금씩 따뜻해져가는 그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의 배경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함께 해보게 되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일본 최고의 서정문학이라고는 하지만 나의 감성에는 잘 와 닿지 않았다. 예전에도 일본 문학을 접할 때는 이런 기분이었는데 일본 특유의 디테일한 감정표현을 읽어내기에는 아직까지 나의 내공이 부족한 것이라 생각한다. 소설을 읽어낸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니. 나에게 이 작품은 작가의 뛰어난 묘사, 즉 들여다보기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순간이었다. 조금씩 나의 생각과 감정을 시적표현으로 풀어내는 것을 시도하고 있는데 문장 하나하나 놓치기 안타까운 것이 참으로 많았다. 잘 소화할 수 있게 꼭꼭 씹어 먹어보아야 겠다.

 

많은 평론가들에게 설국의 첫 문장은 최고의 찬사를 받는 문장이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 최고의 첫 문장은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이다.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하루빨리 이 문장을 넘어서는 첫 문장을 만나기를 고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