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동아리 - 함께 읽고, 토론하며, 글 쓰는
조현행 지음 / 이비락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독서에 취미가 있다고 얘기한다면, 그의 지적인 면에 대해 우리는 기대하게 된다. 그것은 그가 읽은 책의 수 만큼이나 많은 배경 지식을 쌓게 되었을 것이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선에서의 기대치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읽은 책마다 그에 대한 내용을 잘 기억하고 온전히 자기 것으로 만든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다. 왜 그럴까? 책을 읽기만 했을 뿐 그에 대한 부차적인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저자는 읽는 데에만 그치는 독서가 아닌 삶으로 구현되는 독서를 위해서는 함께 읽고, 토론하며, 글을 쓰라고 얘기한다. 맞는 말이다. 그저 한 번 읽고 마는 독서가 아니라 그것을 다른 누군가와 토론하며 이야기 나눈다면, 그리고 그것을 어딘가에 기록하여 남긴다면 더 깊이 있고 다양한 사고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읽은 책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억이 내 안에 자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독서의 중요성부터 올바른 독서 활동, 독서 동아리 활동을 위한 여러가지 조언을 아낌없이 해준다. 사실 독서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을 해보고 싶어도 어떻게 접근해서 구성해야 하는지 잘 알 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아주 상세히 설명을 해 주고 있다. 구성 방법이나 토론의 논제 발제법, 소감 발표의 기술, 진행과정과 독서법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 설명을 해주고 있어 독서 동아리 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사실 독서 동아리 활동에 대한 소개가 주를 이루지만 독서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전반에 걸쳐 나오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책들과 그러한 책에서 얻게 되는 이점들, 예를 들면 세상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생각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 삶과 연계된 독서가 우리를 더 성장시켜준다는 것 등에 대해 설명을 해주고 있다. 후반부에 가서는 독후감, 서평 쓰기에 대한 노하우를 실례를 통해 보여주고 있어 쓰기 활동에 취약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니 꽤 괜찮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독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도 알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바쁜 일상 중에 몇 권의 책을 들여다 본다는 게 마음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다양한 책들을 두루 읽어보는 것도 좋지만 그럴 여건이 안 된다면 단 몇 권의 책이라도 제대로 읽는 게 좋지 않을까. 그리고 그 몇 권의 책이 내게 어떤 메세지를 던져주는 지, 어떤 깨달음을 주는 지를 놓치지 않고 얻어낼 수 있다면 더 좋지 않을까. 이 책을 읽어보니 독서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는 것도 참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