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초등 우리말 교과서 3 - 굳어진 문장 : 관용구.속담 스토리텔링 초등 우리말 교과서 시리즈 3
김일옥 외 지음, 김희경 그림, 우경숙 외 감수 / 북멘토(도서출판)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들은 예전과 다른 어휘가 참 많다. 저희들끼리 알아듣는 새로운 어휘들을 해마다 만들어 내고 있으니 이것을 창의적이라 해야 하나? 사실 개인적으로는 적잖이 걱정되는 것이 사실이다. 서술형 문항이 많아지고 있고 글쓰기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바른 말을 사용하지 않고 평상시에 사용하는 줄임말이나 외래어를 사용하니 글을 쓸 때도 구어적으로 쓴다든지 사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말을 거침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속담이나 격언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에는 그것조차 찾아보기 힘들다. 그만큼 어휘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시대가 변하고 그에 따른 언어적 변화가 있다 하더라도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해 주는 어휘나 속담, 격언 등은 우리가 지키며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읽어보게 된 책이 바로 '초등 스토리텔링 우리말 교과서'이다.

이 책은 초등1~6학년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관용구, 속담을 현직 선생님들이 직접 선별하여 올려 놓았는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그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고 있어 아이들이 읽기에 부담이 없다. '목이 막히다', '말문이 막히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등은 어느 정도 그 뜻을 이해할 만하지만,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핑계가 좋아서 사돈네 집에 간다', ' 어림 반 푼어치도 없다' 등은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기 애매할 때도 있다. 이 책의 최대 장점은 해당 어휘가 적절히 사용될 만한 재미난 이야기가 1장 내외로 적혀져 있어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관용구나 속담, 격언에는 옛사람들의 지혜와 통찰력이 잘 담겨 있어서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삶의 지혜를 전해주기도 하니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아마 이렇게 이해하게 된 어휘는 오래 오래 기억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3권의 시리즈 중 하나인데, 나머지는 명사편과 동사, 부사, 형용사편이다. 이 3권에는 교과서 속 필수 어휘 300여 개가 나온다고 한다. 그 300여 개의 어휘는 신화, 전설, 민담, 동화 등 이야기 300여 편에 담겨져 나온다고 하니 아이들이 읽기에는 참 좋은 것 같다. 책 읽기를 통해 어휘력이 느는 것이 사실인데, 이 책은 짧은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배우게 될 다양한 어휘를 먼저 익힐 수 있게 해주니 여러 면에서 도움이 될 듯하다. 이제 초등 1학년이 된 우리 아이도 이 책을 통해 재미난 이야기도 읽고 다양한 어휘도 익히게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