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꿈결 클래식 1
헤르만 헤세 지음, 박민수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 세월이 흘러도 기억 속에 짙게 자리한 작품들이 있다. 헤세 작품 중에서는 '수레바퀴 아래서'와 '데미안'이 그러하다. 사춘기 감성 가득한 그 시절 두 작품은 조금은 다르게 나에게 와닿았던 작품이다. '수레바퀴 아래서'가 보다 현실적으로 내 감성을 건드린 작품이라면, '데미안'은 자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던 추상적 자화상 같은 작품이었다. 사실 데미안은 쉽게 술술 읽기에는 난해한 부분이 많은 작품이다. 그러면서도 주인공 싱클레어가 갖는 의문과 내면의 갈등이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인간 내면의 심리적인 면을 매력적인 인물인 '데미안'을 통해 그려내는 헤세의 탁월한 글솜씨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부잣집 아들로서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던 싱클레어. 그의 정갈한 삶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프란츠 크로머, 새로운 시각으로 싱클레어의 눈을 열어주는 데미안, 타락해 가는 싱클레어를 정화시켜 주는 존재인 베아트리체, 안식처와도 같은 존재로 그려져 있는 에바 부인 등 싱클레어가 만나는 인물들과 그들과의 대화는 인간이 어떤 삶의 가치관을 갖고 살아가며 그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이 책 후반부에 '데미안'이 쓰여진 배경이나 헤세에 대한 보충 자료가 덧붙여 있어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 설익은 과일과도 같았던 어린 시절 '데미안'은 독특한 인물관계도와 대화법으로 나의 마음을 빼앗았었다.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도 싱클레어가 내뱉는 독백적인 어조나 '데미안'의 색다른 시각에서 비롯된 냉철한 답변까지 그저 매력적이라 여기며 그렇게 이 작품을 좋아했었다. 
그런데 지금 나이가 들어 다시 한번 이 작품을 읽어보니 싱클레어의 내면 변화와 성장 과정에서 보여지는 불안한 감정, 방황과 이탈, 마지막에 자아를 마주하는 모습까지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게 된 거 같다. 인간의 성장 배경이 다 다르고 마주하게 되는 현실이 다 다르지만 주인공 싱클레어가 겪는 내면의 갈등과 변화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한 심리적인 부분을 다양한 인물들과의 관계도를 통해 글로 표현해 내는 헤세의 능력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고....
물론 '데미안'의 소설 전반에 깔린 융의 심리학적 요소나 종교적 요소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자면 더 이야기할 거리가 나오겠지만 여기서는 그만두련다. 인간 내면의 성장은 자신의 세계를 깨고 나올 때 실현되는 것. 그 세계를 깨뜨릴 수 있는 힘은 자아의 성숙과 새로운 세계관에 눈 뜰 때가 아닐까? 내가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과 상황. 하지만 내 안에 자리안 자아가 깨어 있지 않다면 어떤 변화도 발전도 없을 것이다. 데미안을 만나 끊임없이 영향을 받는 싱클레어의 모습은 세상 가운데 어떤 가치관을 갖고 살아가야 하는지를 늘 고민하는 인간의 모습을 대변하는 건 아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