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과 스님, 삶을 말하다
도법.김용택 지음, 이창수 사진, 정용선 정리 / 메디치미디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한 구석 쭈그리고 앉아서도 누군가의 수다를 즐거이 들을 수 있다.

그것이 책이 주는 귀하고도 행복한 선물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난 세 사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김용택 시인, 도법 스님, 정용선 작가.

서로 다른 삶을 살았고 생각의 스펙트럼이 다른 세 사람.

김용택 시인과 도법 스님의 만남에서 무수히 쏟아져 나오는 지나온 과거와 철학 이야기, 그리고 현재 사회의 대안까지 참으로 깊고도 넓은 대화를 들을 수 있었다.

정용선 작가는 이를 객관적인 시각에서 잘 다듬어 펼쳐 놓았다.

작가의 눈에 비친 시인과 스님의 모습이 책 사이사이 사진 속에 고스란히 담겨져 이내 고개를 끄덕이며 읽게 되더라.

 

김용택 시인

그의 시집을 읽고 있으면 어린아이처럼 웃을 수 있고 생각이 맑아진다.

그래서 그의 시가 좋다.

이번에는 자신의 어린 시절 이야기, 교사가 된 이야기, 문학과 자연에 흠뻑 빠져 지낸 이야기를 술술 털어 놓는다.

그의 자연에 대한 애착은 그의 관심을 지구환경으로 옮겨 놓았고 시민단체의 활성화와 농촌 살리기에까지 목소리를 높이게 했다.

그의 꿈은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을 박물관처럼 만들고 싶은 것이라 한다.

농사 교실, 글쓰기 교실, 생태 교실, 마을문화 교실, 강 교실 같은 자연교실을 만들고 싶다는 것이다.

얼마나 멋진 생각인가.

그는 진정한 시인이다.

주변을 돌아볼 줄 알고 세심히 관찰할 줄 알며 희로애락 모든 감정을 담아낼 줄 알고 무엇보다 자연을 사랑하고 그 와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가장 아름답다 생각하는....천상 시인이다.

 

 

도법 스님

스님은 열여덟 살에 출가하였고 스무 살 되던 무렵 '죽음'이란 화두에 마음이 매여 10년 이상을 수행하셨다 한다.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정진하는 과정에서 스님은 선방의 문제와 한국 불교의 현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고,

자기 완성만 강조하는 한국 불교의 전통에 회의를 느끼면서 선방을 뛰쳐 나와 사회 속에 몸을 던지게 된다.

소신있는 행동이 불러 올 주위의 따가운 시선과 비난은 진정한 수행을 위한 스님의 결심 앞에선 아무것도 아니었나 보다.

깨달음이 개인적인 체험으로 끝나지 않고 만인을 위한 가르침으로 이어지길 원하는 스님은 공동체적 삶에 마음을 두게 되고 '귀농학교'와 '인드라망 생명공동체'를 설립하게 된다.

삶의 문제와 존재의 실상에 대한 끊임 없는 성찰로 세상의 무게를 비워낼 수 있었던 스님.

그 깨달음을  온전히 자기 것으로만 여기는 분이 아니기에 이 세상 어디에선가 누군가와 소통하며 나누어 줄 것을 믿는다.

 

 

닮았더라

누구나 그러하듯 두 분의 지나온 행적이나 현재의 삶은 많이 다르다.

하지만 더불어 사는 것의 중요함에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자연과 사람, 사람과 사람 이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것에 마음을 모으고 잇다.

농촌을 살려야 한다는 것, 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 살아 있는 것에 대한 경외심, 소통의 중요성....

이 모두를 끌어안으려 하는 두 분의 마음가짐은 서로 너무나 닮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