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야 하는 우리들은, 사회적 약속에 의해 정해진 규범대로 언어를 만들고 사용해 왔다. 물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행처럼 새로 만들어지는 신조어들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 어문 규정에 의해 약속된 바대로 함께 통용하며 살아오고 있다. 그렇게 살아오다 보니 그 이면에 감추어진 진짜 의미에 대해 잘 모른 채 사용하는 언어들도 참 많다. 가끔 텔레비전을 보고 있으면 바른 말 고운 말 코너를 통해 잘못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알게 되고 바람직한 언어 사용에 대해 깨닫게 되곤 한다. 그럼에도 예전부터 사용해온 익숙한 용어들은 그 안에 담겨진 잘못된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습관처럼 사용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언어가 갖고 있는 사회적 요소가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새삼 깨닫게 되었다. 계층에 따라 사회 현상에 따라 성별에 따라 사회적 권력층과 약자에 따라 어떻게 언어 사용의 의미가 다르게 다가가는지 좀더 알 게 된 것이다. 누구나 선호하고 즐겨 쓰는 단어가 어문 규정이라는 강력한 규제 앞에 갇히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어색하고 싫어도 규정대로 정해진 언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회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그 규정도 융통성있게 변화될 수 있다는 건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결국 사람 자신이기 때문일 것이다. 발음의 문제는 그렇다 치더라도  사회 구성원의 다양한 관계 속에 어떤 대상을 지칭하는 언어를 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장애자에서 장애인, 장애우로 명칭이 변해가는 동안 장애를 가진 사람이 아닌 사람을 일반인, 정상인으로 표현해야 하는 모순이 생기기도 한다. 장애를 가졌다고 일반인이 아니고 정상인이 아닐까? 잘못된 명칭은 사회를 이원화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쓰레기 분리수거라는 언어에는 쓰레기를 분리해서 간다는 의미가 내포 되어 있기에 쓰레기를 분리하고 수거하는 주체는 지자체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쓰레기를 분리하고 지자체는 수거만 해가면 된다. 주체가 달라진 잘못된 언어 표현이다. 대통령은 말 그대로 풀이하면 민주주의하곤 거리가 멀다. 요즘에 사용하지 않는 각하는 우리가 생각하는 최고 권력을 의미하는 명칭이 아니었다. 이래서 언어에 담긴 역사적 의미나 그 변천사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하나 보다. '요즘 아이들'이라 말하는 요즘의 어른들도 예전에는 요즘의 아이들에 해당되었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였다. 신조어를 만들고 비속어나 욕설을 내뱉는 아이들이 요즘 아이들에 해당이 된다면 요즘 어른들도 예전에는 그러한 아이들이었다. 사용하는 언어만 달라질 뿐이다. 결국 언어라는 것은 생각없이 사용할 것이 절대 아니다. 물론 다양한 군상을 만족시킬 만큼 의미적으로 완벽한 단어를 만들고 사용하는 건 참 힘든 일이다. 적어도 이 책을 읽고 나면 그러한 생각이 더 들 것이다. 이 정도의 언어라면 적절하지 않나 했던 단어들이 문제점 투성이의 단어로 올려져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 담긴 차별이나 비민주적인 표현, 반어적인 의미 등은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 세상은 서로가 어우러져 사는 세상이기에 바른 언어, 적절한 표현,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 담긴 언어들을 다시 훑어보며 적어도 이 말들은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싶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