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에게

 

 

 

미움받을 용기 로 150만 독자를 사로잡은
기시미 이치로의 최신작! #마흔에게

 

마흔에게 책은 마흔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이 보면 좋을책이기보다는
나이듦에 대하여 긍정적인 용기를 가질수 있게 해주는
가볍게 편하게 보기에 좋은 책입니다!

 

#마흔에게 #기시미이치로 #다산초당 #미움받을용기

 

 

 

 

#미움받을용기 책을 읽었던 터라 더 애정이가서 선택하게 된 마흔에게 는
읽어보니 아들러 심리학의 1인자 답게 책에 아들러심리학의 글이 나오고
플라톤철학의 글도 나오고 정신의학병원에서 일했던 경험의 글이 나오고
동일본대지진이 일어났을때 강연하며 가족과 고향을 잃은
사람들을 위로했던 또 자신의 일상적인 이야기 까지 나옵니다.

 

글 전체에 흐르는 중심은 나이먹는것과 죽는것은 변하지 않는일이니
그것을 행복하게 받아들이자는 것입니다.

 

부모의 행복과 불행은 아이에게 전염됩니다.
아이의 행복을 바란다면
부모가 먼저 행복해지지 않으면 않됩니다.

 

 

전에 내가 생각했던 잘못된 마음가짐은
내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았고 폄하하던 편이었는데
좋은책을 읽으면서 내 자신을 사랑하고 행복한 마음을 가지라는 것이었다.

 

이 책에서도 일단은 내가 행복해야 하며
자신에 대한 가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지금의 나를 좋아해야한다고 합니다.

 

역시 저도 동감하는 말이고 그래서 저도 가족을 위해서
또 저를 위해서 저를 사랑하며 최선을 다해야 겠다고 생각합니다.


[미움받을 용기]로 세계적인 작가가 된 기시미 이치로는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수술을 하고 재활을 해서
건강을 되찾고 살아가게 되면서
삶의 기쁨을 더욱더 느끼게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마흔에게 책에서는 남은 삶을
걱정하며 힘들게 보내지 말고 노년을 즐겁게 받아들이고
피하지 말고 어떻게 살지 행복하게 생각하며 살라고 합니다.

 

기억에 남는 글 들이 많지만 생각나는게 있는데
"열여덟 살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돌아가고 싶습니까?"라고
기시미 이치로는 상담자와 상담할때 자주 질문을 던진다고 합니다.

 

그럴때마다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답한다고 합니다.
저도 같은 생각인데 어렸을때나 젊을때가 좋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힘들고 쓰라린경험들을 많이 했기에
다시 그 나이로 돌아가기 보다는
지금처럼 삶의 경험이나 깨달음 편안한 마음이 있으니
다시 젊은시절로 돌아가는것은 마냥 좋지만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늙어가는 용기 나이드는 지금을 행복하게 생각하고
인생을 바라보는 눈을 아주 조금 바꾸라고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좋아하며
나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맺을수 있게 때문입니다.

 

나 자신의 가치를 사랑하고
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하니
내 마음은 더 편안해지고 나이듦을 더 편하게 볼수 있었습니다.

 

하루 하루를 행복하게 살며
모르는것은 순순히 인정하기 어떤가요?

 

이 책은 젊은 사람에게는 나이드는것에 대한 기대를
지금 노년을 보내는 사람에게는 젊을 때와는 다른 기쁨을 느끼며
사는 용기를 줄수 있을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