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는 두 번 살아요 도토리숲 과학 그림책 3
에이미 M. 비소네트 지음, 닉 존스 그림, 윤소영 옮김 / 도토리숲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은 가장 위대한 재활용 일꾼이에요.

나무는 두 번째 생애를 마치면서

선물 하나를 남겼어요.

초록색 어린 나무가

여행을 시작하도록 한 거예요.

숲에는 이런 어린 나무가 필요해요.

새 생명이 새 출발을 하고 있어요



글쓴이 에이미 M. 비소네트

그린이 닉 존스

옮긴이 윤소영

펴낸곳 도토리숲



이 책을 읽으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생각이 난다.

숲을 지키며 숲속 생물들을 위해 죽어서도 쉼이 없는 나무.

나무같은 사람이 되어야 할텐데...



숲을 다니다보면 쓰러져있거나 이미 썩어 많이 상한 나무들을 보면 늘 안타깝고 아깝고 했는데 그들은 여전히 생명을 다하고 있는 중이었구나



튼튼한 나무로 우뚝 솟아 있을때는

숲 속 친구들의 먹거리와 잠자리를 제공해주고

비와 바람을 막아주고

공기 오염을 정화하고

빗물이 쏟아져 흙이 쓸려내려가는 것을 막아주고

땅과 식물들의 영양을 책임지고

책에 나온 내용보다 더 많은 선한 일을 하지 않을까 싶다.

(아... 정말 자연계에 이런 일꾼이 또 있을까?)



이런 나무들도 영원히 살 수는 없다

화재로 타 없어지고 곤충들의 습격으로 병에 걸려 죽기도 한다. 또한 거친 비바람에 부러지고 쓰러진다.



하지만 그것으로 나무의 이야기가 끝은 아니다.

그때부터 두 번째 생애가 시작된다.

그 시작은 눈에 띄지도 않는 아주 작은 움직임으로 출발한다. 바로 세균!!



전에 숲놀이 시간에 죽은 나무가 개미로 인해 모래처럼 흩뿌려질 정도로 분해되어 가는 것을 봤는데 개미만 투입되는 것은 아니었다.



여러 세균들과 곤충들, 곰팡이나 버섯 같은 균류가 팀을 이루어 나무의 제 2의 인생을 도와주고 있는 것이다.

마치 은혜를 갚는 것 같이....



그 쓰러진 고목에 많은 생물들이 찾아와 먹을 것을 찾고 안식처와 쉼터가 되기도 하고 겨울잠을 자기도 한다.



계절은 그렇게 바뀌고 시간이 흐르면 나무는 흙으로 돌아가 사는 동안 얻은 양분을 땅으로 돌려준다. 그렇게 되기까지 짧게는 40여년에서 길게는 백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다.

(아.... 한 편의 감동스토리를 보는 듯하다)



그렇게 두 번째 인생이 끝나갈 즈음 나무의 남아 있던 부분에서 생명이 움솟는다. 씨가 싹이 터서 어린나무가 자라는 것이다. 나무는 끝까지 숲을 지키는 사명을 완수한다.



이 책을 읽고나니 숲의 나무들이 다시금 보인다.

다음에 숲에 가면 나무에게 말을 좀 걸어줘야겠다.

“고마워 나무야~”라고





나무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으면 우리 인간 세상도 자연계처럼 생명력이 넘쳐나고 넉넉하고 여유롭고 조화롭게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