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몰랐던 생물들의 마지막 이야기
시모마 아야에 그림, 최서희 옮김, 이마이즈미 다다아키 감수 / 영진.com(영진닷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달래가 활짝 피어 봄이 왔음을 알렸다

진달래꽃에 지도가 있는 걸 아는가?

벌이나 나비가 꿀을 잘 찾을 수 있도록 알려주는 지도가 있다. 물론 공짜는 아니다. 그들은 진달래의 수분을 도와줘야 한다. 수분이 끝나면 지도는 사라진다.

소리도 없는 진달래라도 생존법은 아는 것이 자연의 신비이고 알면 알수록 생물들의 지혜에 놀란다

동네를 돌다보면 고양이가 참 많은데 죽은 고양이는 한 번도 못봤다

들은 얘기로는 고양이는 죽을 때가 되면 스스로 알고 자신만의 장소로 죽음을 맞이하러 간다고 한다

생물들의 마지막에 궁금하던 차에 만난 이 책!!

[우리가 몰랐던 생물들의 마지막 이야기]

제일 먼저 고양이에 관한 이야기가 적혀 있는지 찾았는데

있다 ㅎㅎ

그런데 죽음의 장소로 가는 건 아니구 동물학자 데즈먼드 모리스 박사에 의하면 고양이는 “자신의 죽음”이라는 개념이 없다고...

그저 몸이 안좋아서 편안한 장소를 찾아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는 것 뿐이라고 한다.

(그런데 동물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알지?)

책에는 생물의 죽음에 “안타까운 정도”로 1점에서 5점까지 나타내는데 그거야 개인차 아닌가 싶다

누가 생명의 죽음에 안타까움을 점수로 나타낼 수 있단 말인가!

도롱이벌레의 암컷은 날개가 있어도 날지 못하고 도롱이(마른 가지나 마른 잎으로 만든 벌레의 둥지) 속에서 수컷을 기다리다 짝짓기 성공하면 알을 낳고 바깥 세상 구경도 못하고 죽는다는 ... ㅠㅠ 난 너무 안타까워 별 5개 주고 싶은데 작가는 3개 .. 짜다 짜...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안타까운 정도를 함께 나눠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반딧불이는 다 불이 나오는 줄 알았는데 수컷뿐이고 그것도 암컷과 짝짓기를 위해서만이라는 사실을 알았네



안경원숭이는 눈이 뇌나 위보다 크다고... 게다가 겁도 많고 너무 예민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나무에 스스로 머리를 부딪히거나 숨을 멈춰서 자살해 버린다고...

그래서 필리핀 보홀섬의 자연보호지구에서는 카메라 플래시 촬영하거나 큰소리내기, 직접 접촉, 올라타 있는 나무 흔들기 등 안경원숭이에게 스트레스 주는 행동은 절대 금지라고~



성장한 후에는 100년까지도 살 수 있는 거미게는 탈피하는데 6시간 이상이 걸려 탈피 도중 다리가 끼거나 탈진해서 죽는다고 한다



참....

많은 생물들의 마지막 이야기를 읽다보니 그들도 살아가기

무척 고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명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도

그 생명을 지키는 것도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 세상에서 호흡하며 살 수 있는 기회를 받은것이

축복이라는 생각이 든다



태어나 마지막 가는 길까지 나에게 주어진 삶을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