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파는 아이, 곡비 - 제29회 눈높이아동문학상 대상 수상작 고학년 책장
김연진 지음, 국민지 그림 / 오늘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곡비'가 뭐지?

곡비는 양반의 장례때 그들을 대신하여 울어 주는 노비를 말한다. 참... 우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으면 이런 노비도 있었을까...

주인공인 '아이' 는 태어나는 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슬픔에 찬 엄마는 딸에게 이름도 지어주지 않고 그냥 '아이'라 불렀다. 그렇게 이름도 없이 살아가는 아이.

 

상가집에 가서 모두들 울고 있는데 아이의 눈에는 눈물 한 방울 나오지 않는다.

노비로 태어나 인생이 참 슬프고 고달팠을 아이는 그렇게 눈물 없는 곡비의 삶을 살아간다.

 

꽃가마에 앉아 시집가는 청조 아씨, 그녀의 눈에는 왜 눈물이 고였을까?

'아이'에게 참 모질게도 했고 성격이 까칠하여 모두들 피하려고만 하게 만드는 아씨

그녀는 어렸을 적에 엄마가 동생을 낳다가 엄마와 동생 모두를 잃는다. 아버지와도 헤어져 정에 굶주려 살아가는 청조 아씨

아이는 청조 아씨의 꽃신을 훔쳤다는 누명을 쓰고 매를 맞았다. 곡비의 결백을 누구도 믿어주지 않았다. 억울해 울던 아이에게 누군가가 "눈물 파는 아이라 흔하구나. 눈물이." 말했다. 아이는 그 사건 이후 집에 틀어박혀 지냈고 울지 않는 삶을 꿈꿨다. 현실은 울고 싶은 날의 연속이었지만 아이는 꾹 참았다. 너무 참아서 일까... 눈물을 잃어버린 곡비가 되었다.

 

살아있는 귀신의 아들 '오생'

팽형이라는 벌이 있다. 이것은 백성들의 재물을 탐한 관리가 받는 벌인데 죄인을 물에 삶는 형벌이다. 끔찍하다. 하지만 진짜로 물에 삶아 죽이지는 않는다. 큰 솥에 죄인을 들어가게 한 후 삶는 척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팽형에 처해진 죄인은 살아있지만 죽은 사람이 되어야 하고 장례도 치른다.팽형을 받은 후 태어난 자식은 족보에도 오르지 못한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 '오생'

오생도 이름이 없다. 그냥 말의 해에 태어났다고 해서 오생이란다.

할아버지의 장례에도 참석할 수 없는 슬픈 인생이다.

 

그리고 아이와 오생과 그들의 동무인 부엉이가 어느날 야밤에 몰래 화성행궁에서 임금님 놀이를 하다가 한 선비를 만나는데... 그들은 선비의 정체를 모른다.

대체 그 선비는 누구일까?

슬픔을 간직하고 있는 선비와의 만남을 통해 각자의 삶 속에서 눈물을 가득 담은 아이들은 그 샘의 문이 열리기 시작한다.

책을 받고는 아들에게 읽어 주려면 며칠 걸기겠구나 싶었는데 한밤이 되어서까지 읽고 책을 덮었다. 아이도 나도 눈물이 가득 흘러 꺼이꺼이 울면서 읽었다.

우리 아들 표현으로는 "엄마~ 수도꼭지가 터졌어~~"

스토리가 너무나 탄탄해서 영화로 만들어도 좋겠다는 생각하면서 읽었다.

내가 줄 수 있다면 노벨문학상을 주고 싶다는 생각도. ㅎㅎ

사실 그 선비는 정조다. 사도세자의 아들

그 또한 얼마나 많은 삶의 눈물을 담고 있던 왕이었던가!

[눈물을 파는 아이, 곡비]를 읽으며 아이도 정조에 대한 마음을 가지게 되어 집에 있던 조선왕조실록에서 정조에 관한 책도 찾아 보고 그가 뛰어난 필치로 알려져 있다는 얘기에 재미없어 하던 필사도 즐거이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