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이주윤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같은 생각으로 살아가는 동지를 보면 반가운 법이다. 한빛비즈의 《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는 말 그대로 자발적 싱글을 감행(!) 한 30대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다. 내가 요새 이 저자의 길을 밟고 있는 터라, 이리 반가울 수 없다.

저번 주 토요일, 교회에서 피아노 연습을 하고 있는데 평소 매우 친하게 지내는 한 집사님께서 나에게 하신 이야기를 풀어야 하는 순간이 바로 지금인가보다. 그 집사님의 딸 분이 나랑 비슷한 또래라, 날 딸처럼 아끼고 편하게 대해주시는 정말 친한 분이다. 나의 20대를 꼬박 옆에서 지켜봐주신 분이기도 하다. 꼰대라는 단어도 안 어울리고, 나중에 내가 저 나이가 됐을 때 저렇게 깨어있는 사고를 가지고 싶다고 생각할 만큼 나에겐 좋은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는 분이었다. 그런데!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말미에 하시는 말씀이, "이제 좋은 사람 만나서 시집가야지!"

omg, 내가 그 집사님께 그런 소리를 벌써 (!) 들을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 그렇게 깨어있는 사고를 가지신 분이라고 생각하셨는데 결혼에 대해서는 아직인가보다. 내가 스물 아홉 밖에 되지 않았는데 왜 결혼 이야기를 하시는지 모르겠다. 아니 서른이 되어도, 서른 하나가 되어도!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이야기란 말이다.

그래서 바로 이렇게 대답했다.

"아직은 생각이 없어요! 세상엔 재밌는 일이 너무 많아요"

"그치 하고 싶은게 많지~? 재밌는게 참 많지! 근데 하고 싶은거 다 즐기고 다 하면 결혼 못해~ 나중에 누가 너 데려간다고~?"

(발끈) "글쎄요~ 사람은 많아요 ㅋㅋㅋㅋㅋㅋ"

"ㅎㅎㅎ 그래~ 그럼 열심히 즐겨!"

대충 이런 뉘앙스로 대화가 마무리 된 것 같은데, 몇 분 안지나 조금 후회가 되었다.

"누가 절 데려가는 게 아니라 제가 선택하는 건데요" 라고 할걸.


책을 읽다보면 빵빵 터진다. 저자인 이주윤씨의 전작이 《오빠를 위한 최소한의 맞춤법》인데, 읽진 않았으나 (!) 예전에 책을 접하고 제목부터 마음에 들었더랬다. 왜 기본적인 맙춤뻡조차 틀리는 사람들이 왜 이리 많은지. 친구들아, 맞춤법 좀 틀리지 말자. 오죽하면 정말 '담백한 카톡 말투' 가 호감을 불러 일으키는 요인이 되었을까. 실제로 내가 그러한 에피소드를 경험한 적이 있어서 (...) 아니 근데 요새 애들은 왜 그렇게 정말 기본적인 맞춤법, 띄어쓰기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걸까? 맞춤법/띄어쓰기가 관계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걸 그들은 정말 모르는 걸까?

할 말은 많지만 해 봤자 그 누구에게도 좋을 것 없으니, 줄여야겠다.

이번 년도 들어서 유난히 나에게 결혼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진다. '꺾어지는' 스물 다섯살을 넘어 넘어, 30을 코 앞에 둔 스물 아홉이라는 게 분위기로 느껴지는 건가? 그런 나를 위해 빨리 "좋은 남자 만나 시집가야지" 라고 말하시는 분들을 위해 헌정하고 싶은 책이다. 우리 부모님도 나의 결혼에 대해 함부로 왈가왈부하지 않으시는데 자꾸 결혼은 언제하냐, 좋은 사람 만나야지? 그걸 저한테 왜 말씀하시는 건데요. 저번에도 어떤 분이 그렇게 말씀하시길래, "좋은 사람 없는데요? ^^ 있으면 좀 소개시켜 주세요." 하니까 어버버 하시면서 대답을 못하시던데 말이죠. 노처녀란 말도 없어져야 해. 노처녀 히스테리란 말은 더더욱.

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아니 솔직히 제가 결혼을 하든 말든 무슨 상관이신데요!

유쾌한 저자의 말솜씨가 책장을 훌훌 넘거가게 하는 에세이지만 그저 마냥 가볍지만은 않아서 때로는 생각하게 만들었던 책이다. 우리 앞으로도 잘 버텨나 보아요. 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제 눈에 차는 사람이 없는걸요. 제가 너무 아깝고, 제 경력이 단절될 것을 생각하니 더 아까워요.

근데 뭐, 제가 결혼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