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학을 읽는 아침
조용헌 지음, 백종하 사진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4월
평점 :
책을 접하다 보면, 옆에 놓아두고 눈길 가는대로 집어서 읽고 싶은 책들이 있다. 이 책이 -동양학을 읽는 아침, 조용헌 지음- 그런 류에 속하는 책이다. 일간신문에 연재되던 칼럼들이기 때문에 지면의 활자수에 제약을 받았기 때문에 어떤 이야기들은 내용이 많이 축약되어 이해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한 것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편하게 우리의 일상 생활에 일어난 이야기들을 동양학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서 접목시켜 풀어준 것들이나, 우리의 고유 건축물속에 녹아있는 동양의 사상이나 깊이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모자람을 쉬운 글로써 잘 이해시켜 주고 있다 하겠다.
조용헌님은 이 책의 내용을 수신,제가,치국,평천하로 나누어서 서양문화에 밀려버린 동양 문화속에서 현재의 일상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각 장별로 하나씩을 소개해 보면 수신(몸과 마음을 닦다)편에서 '지능이란 무엇인가?'편에서 님은 암기력,분석력,추리력,직관,접신,창의력을 들고 있는데 한번쯤은 우리들이 깊은 사고를 요하는 내용이 아닐까 생각된다.
제가(집안을 정제하다)편에 있는 '소반의 숫자는 집안의 품격'에서 우리 가정의 식탁에 올라오는 소반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수 있었다.
치국(나라를 다스리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을 중국의 쑨원,일본의 사카모토 료마에를 거론하며 우리에게 모두 필요한 존경받는 인물이 없음을 탄식한다. 일견 공감하고 싶은 이야기이다.
평천하(천하를 평정하다)의 '삼성혈과김정은'편에서는 김일성 일가의 족보와 연관있는 묘자리 이야기는 그냥 편하게 읽고 넘어갈수 있는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우리들의 일상에 스며있는 동양문화의 뿌리깊음이 의외로 많다는것에 놀라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책을 통하여 얻게되는 즐거움은 상식이나 지식의 깊이를 더하여 우리 주변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만드는 내공이 쌓인다는 것이다.